청년재단, 취약청년 자립 맞춤형 지원 ‘2024년 청년다다름사업’ 실시

청년재단, 취약청년 자립 맞춤형 지원 ‘2024년 청년다다름사업’ 실시

입력 2024-03-13 16:36
업데이트 2024-03-13 16: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재단법인 청년재단(이하 재단)이 13일 취약청년의 건강한 자립을 위해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청년다다름사업’을 전국 10개 지역제작소로 확대 실시한다고 밝혔다.

청년다다름사업은 자립준비청년, 가족돌봄청년, 장기미취업청년 등 정책의 사각지대에 있거나 진로·취업 등의 이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청년을 발굴해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자립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미지 확대
13일 ‘2024년 청년다다름사업 지역제작소 오리엔테이션’에서 박주희 청년재단 사무총장이 발언하고 있다. 청년재단 제공.
13일 ‘2024년 청년다다름사업 지역제작소 오리엔테이션’에서 박주희 청년재단 사무총장이 발언하고 있다. 청년재단 제공.
재단이 서울 지역을 직영으로 관리하며, 전국 9개 지역(인천·성남·안산·원주·대전·청주·공주·부산·광주) 위탁기관 운영을 통해 200여명의 청년을 지원한다. 재단은 지난 2019년부터 누적 1184명의 청년을 지원했다.

청년다다름사업 참여 청년들은 정기적인 개별 면담 및 모니터링을 통해 밀착관리를 받은 후 맞춤형으로 지원받게 된다.

재단은 △일상회복(심리상담, 라이프코칭, 소모임지원, 문화·예술·여가지원) △자기성장(진로코칭, 멘토링, 역량강화) △사회안착(일경험 프로그램) 등의 과정에서 청년 맞춤형 프로그램을 설계해 지원한다. 아울러 △애로사항 해소지원(주거·법률·의료·심리 등 분야별 유관기관 연계) △식비지원(월 30만원씩 4회) △종합건강검진(20만원 상당) 등을 제공한다.

또한 올해부터는 전국 지역제작소 청년지원 담당자들의 역량강화 및 네트워킹을 위한 신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분기별 1회 종사자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지원의 노하우와 애로사항 등을 공유하고, 지역별 운영 상황에 맞는 슈퍼비전(종사자 교육훈련)을 운영한다.

이날 재단에서 올해 청년다다름사업 시작을 알리는 오리엔테이션이 진행됐으며, 전국 지역제작소 종사자 20여명이 참석했다.

청년지원 담당자들은 “지역에서 홀로 자립에 고군분투하고 있을 청년들과 만날 수 있어 다행”이라며 “취약청년이 심리적으로 기댈 수 있고, 실질적으로 도움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청년재단 박주희 사무총장은 “올해 청년다다름사업을 준비하며 ‘모든 청년은 자기만의 속도와 방식으로 살아도 괜찮다’는 가치를 설정했다”며 “앞으로 전국에서 모일 청년들이 각자의 다 다른 목표에 온전하게 다다르고,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다각도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청년다다름사업 지역제작소 참여 청년 모집에 대한 소식은 3월 중 재단 홈페이지 및 각 지역제작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온라인뉴스팀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