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월가, 세계 투자은행 톱5 장악/JP모건·골드만 1·2위

미국 월가, 세계 투자은행 톱5 장악/JP모건·골드만 1·2위

이석우 기자
입력 2018-09-21 16:11
업데이트 2018-09-21 16: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미국 뉴욕의 월스트리트
미국 뉴욕의 월스트리트 세계 금융의 중심가인 미국 뉴욕의 월스트리트.
미국 월가의 초대형 투자은행들이 세계 투자은행(IB)의 상위 5위를 석권했다.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 유럽세를 누르고 확보한 우위가 여실하게 유지되고 있었다.

올해 상반기 매출액기준으로 JP모건과 골드만삭스가 세계 투자은행 1,2위 자리를 차지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가 20일(현지시간) 인용한 리서치업체 코얼리션(Coalition) 자료에 따르면 JP모건은 세계 금융위기를 지나며 2010년 정상에 오른 이후 올해 상반기까지 부동의 수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JP모건은 채권·원자재·증권·지역별 뱅킹 등 총 14개 부문에서 2개 부문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 1위 자리를 차지했다.

2009년까지 지켰던 정상을 JP모건에 내준 골드만삭스는 지난해까지 2년 연속 씨티그룹과 공동 2위에 머물렀다가 올해 상반기 미주 시장을 중심으로 한 채권 거래와 뱅킹 매출 급등으로 단독 2위가 됐다. 골드만삭스는 지난해 채권과 원자재 시장이 저조했던 탓에 어려운 한 해를 보냈다가 올해 이를 만회했다.

씨티그룹은 미국 시장 내 입지를 상당 부분 잃으면서 모건스탠리와 공동 3위가 됐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메릴린치가 그 뒤를 따랐다. 월가 은행들은 금융위기 이후 석권한 ‘글로벌 톱5’ 구도를 굳건히 했다.

세계 IB업계는 금융위기 이후 큰 변동을 경험했다. 2007년 IB 2위였던 도이체방크는 2016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6위에 머물고 있다. 크레디트스위스는 이 기간 6위에서 8위로, UBS는 7위에서 9위로 내려와 유럽 투자은행들의 입지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FT는 그렇지만, 내달 초 골드만삭스 리더십을 이어받을 데이비드 솔로몬 신임 최고경영자(CEO)에게는 여전히 극복해야할 과제가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글로벌 인수합병(M&A) 부문에서 1위 자리를 JP모건에게 넘겨줬기 때문이다.

조지 쿠즈넷소브 코얼리션 리서치분석 책임자는 “미국 은행들이 유럽과 비교해 여전히 우세하다”고 말했다.

그는 “유럽 은행들은 이제 막 구조조정을 마치고 다시 경쟁에 나서고 있다”며 “유럽 시장에서 입지를 늘리려 하고 있지만,경쟁자가 많아 차별화가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석우 선임기자 jun88@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