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9/19/SSI_20210919145416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9/19/SSI_20210919145416.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9/19/SSI_20210919145500_O2.gif)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9/19/SSI_20210919145500.gif)
세계적인 동물보호단체 페타(PETA)에 따르면 공개된 영상은 나이아가라폭포 관광지 내의 한 수족관 마린랜드에서 촬영된 것으로, ‘키스카’라는 이름의 범고래의 모습을 담고 있다.
이달 초 촬영된 것으로 알려진 해당 영상을 보면 해당 범고래는 홀로 물 위를 비정상적인 모습으로 떠다니는 모습과 수족관 벽에 스스로 머리를 부딪치고 있다. 수족관 물이 넘쳐 흐를 정도로 강하게 스스로를 벽에 내던지는 모습은 전문가들로부터 자해를 의심케 하기 충분했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9/19/SSI_20210919145539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9/19/SSI_20210919145539.jpg)
생후 44살로 추정되는 암컷 범고래 키스카는 아이슬란드 해안에서 태어난 뒤 1979년 사람들에게 포획돼 수족관으로 팔려갔다. 이후 40년 이상을 수족관에 갇혀 지내야 했던 키스카는 그동안 새끼 5마리를 출산하기도 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새끼 5마리는 모두 어미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고, 키스카는 수족관의 수조에 홀로 남아 헤엄치며 살아가야 하는 ‘세상에서 가장 외로운 고래’가 됐다.
![나이아가라폴스 마린랜드의 범고래 키스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9/19/SSI_20210919145650_O2.jpg)
![나이아가라폴스 마린랜드의 범고래 키스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9/19/SSI_20210919145650.jpg)
나이아가라폴스 마린랜드의 범고래 키스카
캐나다 현지에서는 키스카에게 자유를 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돼왔다. 특히 마린랜드는 지난 5월 캐나다 동물복지국으로부터 수질 불량으로 동물들의 건강이 위협을 받고 있다며, 수족관의 물 관리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는 명령을 두 차례나 받은 만큼, 시민들과 동물보호단체는 더욱 강하게 키스카의 자유를 주장해 왔다.
그러다 최근 마린랜드에서 해양 포유류 관리사로 일한 필 데머스가 내부고발에 준하는 영상을 공개하면서 이런 목소리는 더욱 거세졌다.
현지의 한 동물보호단체는 “마린랜드가 범고래 키스카에게 신체적·정신적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환경에 가둬두고 있으며 이는 동물보호법을 어기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마린랜드 측은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