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우뉴스] ‘돌연변이 검은 청개구리’ 체르노빌 원전서 발견…방사능 재앙의 현실

[나우뉴스] ‘돌연변이 검은 청개구리’ 체르노빌 원전서 발견…방사능 재앙의 현실

입력 2022-10-12 16:44
수정 2022-10-12 16: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오늘쪽은 일반 청개구리, 왼쪽은 체르노빌 원전사고 이후 개체 수가 많아진 검은 청개구리
오늘쪽은 일반 청개구리, 왼쪽은 체르노빌 원전사고 이후 개체 수가 많아진 검은 청개구리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인근에서 돌연변이 유전자를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개구리들이 발견됐다.

‘세계 최악의 원전 사고’로 꼽히는 체르노빌 원전사고는 1986년 4월 26일 원자로의 설계 결함과 안전규정 위반, 운전 미숙 등의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발생했다.

이 사고로 4호기 노심과 원자로 건물 지붕이 파괴되고 화재가 발생했고, 이후 원전 사상 최악의 방사능 오염으로 이어졌다. 이후 인근 30㎞가 강한 방사능에 오염돼 출입금지구역으로 지정됐다.

파블로 부라코 스웨덴 웁살라대 동물생태학자와 게르만 오리사올라 스페인 오비에도대 생물학자는 2016년부터 3년 동안 체르노빌 출입금지 구역 내에서 서식하는 청개구리를 조사했다.

방사선이 강한 출입금지구역 안 연못 8곳과 방사선이 자연 상태와 비슷한 금지구역 밖 연못 4곳에서 수컷 청개구리 200여 마리를 채집했고, 분석 결과 사고 당시 방사선이 강한 곳일수록 짙은 청개구리가 더 많이 서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체르노빌 원전사고 이전의 청개구리와 이후의 청개구리
체르노빌 원전사고 이전의 청개구리와 이후의 청개구리
연구진은 전문가 매체인 컨버세이션에 기고한 글을 통해 “사고 원전 주변에서 평범한 청개구리와는 다른 새까만 청개구리를 여러 마리 발견한 것이 이번 연구의 계기였다”면서 “해당 청개구리는 카스피 해에서 북해에 걸쳐 서식하는데, 일반적으로 밝은 초록 빛깔을 띠지만 종종 짙은 색의 개체가 발견되기도 한다”고 전했다.

이어 “멜라닌 색소가 방사선의 나쁜 영향으로부터 청개구리를 보호한 것으로 추정된다. 청개구리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달라진 것으로 보인다”면서 “멜라닌은 세포 안에서 방사선에 쏘여 이온화한 분자들을 청소하고 중성화하는 구실을 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멜라닌의 보호를 받는 검은 청개구리의 생존율과 번식률이 일반 청개구리보다 높다는 점도 확인됐다.
사고 당시 체르노빌 원전의 모습
사고 당시 체르노빌 원전의 모습
다만 체르노빌 원전 내 청개구리의 몸 색깔이 짙어진 것은 현재가 아닌 과거의 영향으로 판단했다. 현재의 방사선 수준과는 관련이 없다는 것.

연구진은 “오늘날 방사선 수준은 사고 당시에 비해 훨씬 낮아졌기 때문에, 검은 청개구리가 현재처럼 생존과 번식에서 더 우월한 위치에 있을 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면서 “현재는 멜라닌의 보호 역할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하지만 검은 개구리가 유전자 변이로 멜라닌을 더 많이 생산하는데 큰 에너지가 들지 않는 만큼, 당분간은 검은 개구리의 개체 수가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