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식펀드 수익률 ‘-’ 해외는 ‘+’

국내 주식펀드 수익률 ‘-’ 해외는 ‘+’

입력 2010-01-09 00:00
수정 2010-01-09 12: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내 주식형펀드가 3주만에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해외펀드는 2주째 플러스 수익률을 이어갔다.

 9일 펀드 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8일 기준으로 설정액 10억원 이상인 일반 주식펀드 464개의 주간 수익률은 -1.25%를 기록해 3주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코스피가 0.04%,코스닥지수가 1.34% 상승한 데 비하면 국내 주식형 펀드의 수익률은 시장 수익률을 밑돈 것이다.

 코스닥 강세에도 중소형주펀드(18개)는 -0.08%였고,코스피200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113개)도 -0.22%,배당주식펀드(33개)는 -0.41%를 기록했다.

 펀드별로는 코스닥 시장 강세에 코스닥과 중소형주 비중이 높은 펀드가 주간 수익률 상위권을 차지했다.특히 특정지수를 복제·추종하도록 설계된 상장지수펀드(ETF)가 대거 상위권에 포진했다.

 펀드별로 살펴보면 ‘한국투자KINDEX삼성그룹주SW 상장지수(주식)’ 펀드가 한주간 4.20%로 가장 우수한 성과를 기록했다.이 펀드는 ETF로 14~15개의 삼성그룹주 관련 종목을 편입한다.코스닥 관련 상장지수펀드가 뒤를 이었으며,ETF를 제외하고는 ‘한화VIO 1(주식-파생)C/Cf2’펀드와 가치주를 중심으로 투자하는 ‘한국밸류10년투자 1(주식)’ 펀드가 상위권에 올랐다.

 해외 주식펀드는 주간 1.91%의 수익을 기록하면서 2주째 플러스 수익률을 이어갔다.

 각국 제조업지표 개선과 달러화 약세에 따른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러시아를 비롯해 원자재 관련 상승세가 두드러졌고,금 관련 기초소재섹터 펀드의 수익률도 급등했다.

 신년연휴(1~10일)로 증시에 거래가 없었던 러시아 주식펀드는 다른 지역에 상장된 주식예탁증서(DR)에 국제유가 상승과 환율에 따른 영향이 반영되면서 5.84%상승했다.

 브라질주식펀드는 국제유가 상승으로 원자재,에너지주가 상승세를 보이면서 주간 2.17%의 수익을 기록했다.인도 주식펀드도 재정적자 증가우려에도 유가와 금속가격 상승으로 1.36% 올랐다.

 중국주식펀드는 경제회복에 대한 기대와 국제 상품가격 강세로 1.48% 상승했다.

 북미주식펀드는 제조업지표 개선과 인텔 등 주요기업에 대한 상향조정 덕에 한주간 0.74% 상승했고,유럽주식펀드도 제조업 지표 개선과 상품주 강세로 1.29% 상승했으며,일본 주식펀드는 일본항공 구조조정 악재에도 1.43% 상승했다.

 펀드별로 보면 금 관련 기초소재 섹터펀드를 비롯한 원자재 관련 신흥국 펀드가 주간성과 상위권을 차지했다.

 ‘블랙록월드골드 자(주식)(H)(A)’ 펀드는 금 가격 강세를 반영하며 7.07% 상승해 주간 성과에서 1위를 차지했다.반면 중국 본토증시의 약세로 ‘한화꿈에그린차이나A주트레커자UH- 1(주식-파생)C/Cf2’펀드와 ‘미래에셋China A Share 자 1(H)(주식)종류A’ 펀드는 각각 5.39%,3.58% 급락했다.

 채권 시장이 기획재정부 차관의 금융통화위원회 열석 발언권 행사 소식에 강세로 전환하면서 일반채권펀드는 한주간 0.21%의 수익을 냈다.중기채권펀드는 0.37%,우량채권펀드는 0.27%,초단기채권펀드와 하이일드채권펀드는 각각 0.27%,0.19%의 수익을 냈다.

 일반주식혼합펀드(66개)와 일반채권혼합펀드(211개)의 주간 수익률은 각각 -0.09%와 -0.05%로 집계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