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잠식이나 대규모 손실,적자전환,감자 기업들의 주가가 줄줄이 하락했다.
17일 한국거래소가 최근 사업연도 말 현재 자본잠식률이 50% 이상이라며 관리종목 지정 우려와 함께 투자 유의를 당부한 제넥셀세인은 하한가까지 떨어졌다.
거래소가 2년 연속 자기자본의 50% 이상 손실이 발생했다고 밝힌 엑스로드와 단성일렉트론도 가격 제한폭까지 곤두박질쳤다.
이들 종목은 공시를 통해 밝힌 자본잠식이나 대규모 손실이 감사보고서에서 최종 확인될 경우 거래소에 의해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수 있다.
특히 3년 연속 자기자본의 50%를 초과하는 손실이 발생하거나 자본 전액잠식,2반기 연속 자본잠식률이 50%를 웃돌 경우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한다.
지난 9일 거래소가 자본잠식률이 50%를 웃돈다고 밝힌 유가증권시장의 C&우방랜드(-2.65%)도 이튿날부터부터 6거래일 중 5거래일이나 급락했다.
지난해 174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로 전환했다고 전날 공시한 하이드로젠파워는 전날 6.11%나 떨어진 데 이어 이날도 하한가까지 떨어졌다.
감자 기업들의 주가도 추락하고 있다.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감자를 결정한 베리앤모어는 이틀 연속 하한가를,소리바다미디(하한가)어 5거래일 연속 급락했다.
연합뉴스
17일 한국거래소가 최근 사업연도 말 현재 자본잠식률이 50% 이상이라며 관리종목 지정 우려와 함께 투자 유의를 당부한 제넥셀세인은 하한가까지 떨어졌다.
거래소가 2년 연속 자기자본의 50% 이상 손실이 발생했다고 밝힌 엑스로드와 단성일렉트론도 가격 제한폭까지 곤두박질쳤다.
이들 종목은 공시를 통해 밝힌 자본잠식이나 대규모 손실이 감사보고서에서 최종 확인될 경우 거래소에 의해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수 있다.
특히 3년 연속 자기자본의 50%를 초과하는 손실이 발생하거나 자본 전액잠식,2반기 연속 자본잠식률이 50%를 웃돌 경우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한다.
지난 9일 거래소가 자본잠식률이 50%를 웃돈다고 밝힌 유가증권시장의 C&우방랜드(-2.65%)도 이튿날부터부터 6거래일 중 5거래일이나 급락했다.
지난해 174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로 전환했다고 전날 공시한 하이드로젠파워는 전날 6.11%나 떨어진 데 이어 이날도 하한가까지 떨어졌다.
감자 기업들의 주가도 추락하고 있다.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감자를 결정한 베리앤모어는 이틀 연속 하한가를,소리바다미디(하한가)어 5거래일 연속 급락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