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타이어 러·CIS서 ‘성공신화’

한국타이어 러·CIS서 ‘성공신화’

입력 2010-08-27 00:00
수정 2010-08-27 00: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 2005년 러시아 타이어 시장에 진출한 한국타이어의 클레임 건수는 지금까지 모두 28건. 애프터서비스(AS)가 필요없을 정도다. 한국타이어에 대한 현지 딜러들의 이같은 입소문은 일본 요코하마를 비롯한 미국 굿이어, 프랑스 미셰린 등 세계 유수의 경쟁업체에 긴장감을 불러일으켰다. 러시아의 대도시 니즈니노보그라드에서 타이어를 공급하는 현지 딜러 리나리스사는 2007년 시험삼아 한국타이어 제품 5000개를 주문했다. 1년 뒤에는 리나리스 타이어 판매량의 90%(5만개)를 한국타이어로 채웠다.

이미지 확대
지난 25일(현지시간) 개막한 ‘2010 모스크바 국제오토 살롱’ 한국타이어 부스에서 현지 딜러들이 겨울용 타이어를 살펴보고 있다.
지난 25일(현지시간) 개막한 ‘2010 모스크바 국제오토 살롱’ 한국타이어 부스에서 현지 딜러들이 겨울용 타이어를 살펴보고 있다.
한국타이어가 러시아·독립국가연합(CIS)에서 성공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한국타이어는 지난 5년간 러시아와 CIS의 판매량이 4배 이상 증가, 이곳에 진출한 글로벌 타이어업체 10여개사 가운데 가장 높은 판매신장률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박창원 CIS담당 상무는 “해외 브랜드의 시장점유율이 30%밖에 안 되는 상황에서 후발주자가 2014년 시장점유율 7.2%(450만개)를 달성하겠다는 것은 굉장한 도전”이라면서 “지금처럼 적극적인 선행 투자가 이뤄지면 2~3년 뒤에는 일본업체들을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타이어는 러시아 진출 첫해인 2005년에 시장점유율 0.4%에 불과했지만 지난해는 2.8%를 기록했다.

이미지 확대
올해 러시아 자동차시장은 정부의 중고차 지원혜택 등에 힘입어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지난 7월까지 모두 96만여대가 팔려 연간으로는 160만~170만대 판매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렇다 보니 타이어 공급이 수요를 못따라가는 실정이다. 박 상무는 “수요가 공급을 30% 초과하고 있다.”면서 “트럭 타이어는 물량 부족으로 딜러들에게 할당제를 시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높은 성장이 기대되면서 한국타이어도 메이저 업체로 진입하기 위한 마케팅 강화와 브랜드 인지도 향상에 공을 들이고 있다. 판매 법인과 지점들을 추가로 설립했고, 러시아와 CIS 내 13개 도시에 TV 광고를 내보내고 있다. 또 지난 25일 개막한 ‘2010 모스크바 국제 오토 살롱’에 국내 타이어업체로는 유일하게 참가했다. 친환경 겨울용 타이어인 ‘윈터 아이셉트 에보’와 ‘윈터 아이파이크 LT’ 등을 대거 선보이며 시장 맞춤형 공략에 들어갔다.

김세헌 브랜드담당 상무는 “이번 모스크바 국제 오토 살롱은 한국타이어의 기술력을 알리는 동시에 러시아와 CIS 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하겠다는 일종의 신호탄”이라면서 “앞으로도 지속적인 브랜드 가치 향상과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러시아와 CIS에서 한국타이어의 위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글 사진 모스크바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10-08-2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