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추가 양적완화(화폐 공급을 늘리는 것)조치 이후 신흥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자산 버블(거품)이 우려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지난해 시작된 채권시장의 버블이 원자재 시장과 주식시장에 전이된 상황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주장을 급진적으로 보는 전문가들도 채권시장의 거품에는 동의하고 있으며 향후 글로벌 유동성 확대로 6개월~1년의 시차를 두고 다른 자산시장에 확산될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가 선제적 금리 인상과 외화 유출입 변동성 완화 등 관련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의미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3년물 국고채 금리는 지난해 10월 23일 4.59%에서 지난달 3.05%로 1.5% 포인트 이상 감소했다. 막대한 글로벌 유동자금의 영향이다. 지난 9월까지 전 세계 유동자금의 95%가 채권으로 쏠리면서 채권값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채권가격과 금리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 투기등급 회사채 가격을 의미하는 미국의 9월 정크본드 지수는 2007년 6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중반 채권 가격이 오르자 유동자금이 원자재 시장으로 옮겨가면서 올 4월만 해도 g당 4만원가량이었던 국내 금값은 이달 초 5만원을 돌파했다. 코스피지수도 하반기 들어 8월 27일 1729.56에서 3개월도 안 되는 시점인 이달 10일 1967.85로 238.29포인트가 치솟았다.
이종우 HMC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 금융정책 공조로 해외시장에서 일어나는 버블의 전이가 우리나라에도 시차가 거의 없이 반영되는 것”이라면서 “채권시장발 버블은 부동산발 버블과 달리 개인 투자자와 밀접한 관계가 없어 원자재나 주식 시장에 전이된 후에야 알게 되는 것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채권 버블 붕괴는 회사채의 경우 정크본드를 버블상태에서 과도하게 매입한 상태에서 해당 업체가 한두 개라도 무너지면 경쟁적으로 시장에 매도하면서 일어난다. 국채 역시 과도하게 비싼 가격으로 매입한 이후 금리가 오를 경우 시장에 일시에 팔아치우면서 자금이탈이 일어난다. 이는 부동산 버블이나 주식 버블 붕괴처럼 아주 급격한 자금 이탈은 아니다. 하지만 버블이 다른 자산 시장으로 전이된 상태에서 채권시장 버블 붕괴가 일어날 경우 모든 자산시장에서 순차적으로 자금이탈이 일어나 충격은 더 클 수 있다.
반면 주식시장의 경우 실제 PER(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수익성 지표)가 11.5배에 불과해 주식 버블이라고 불렸던 2007년의 13.5배에 크게 못 미치고 있어 아직 버블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아일랜드가 구제금융을 받기로 하는 등 유럽의 경제상황 악화로 유동자금이 신흥국으로 더욱 쏠리면서 버블 우려가 커진다는 데는 이의가 없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0-11-23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