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추값 절반 마트 이윤…정부는 유통개선 말만”

“상추값 절반 마트 이윤…정부는 유통개선 말만”

입력 2011-01-06 00:00
수정 2011-01-06 00: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4㎏ 한 상자 산지 5000원→소매가 2만5600원

“대형마트에서 한 박스(4㎏) 2만 5000원에 팔리는 상추가 여기(생산지)에서는 5000원도 안 돼. ”

5일 오후 2시 경기 이천의 한 비닐하우스 상추밭. 상추농사를 짓는 김윤수(57)씨가 굳은 표정으로 태국인 일꾼 5명과 함께 청상추 잎을 따고 있었다. 김씨는 “이거 다 팔아 봐야 손해야. 어제(4일) 시가로 가락시장에서 4㎏에 5000원에 거래됐다고. 지금은 그나마 나은 편이야. 12월 중순에는 800~1200원에 거래됐어.”라면서 “인건비·난방비·자재비 계산하면 겨울철에는 4㎏에 6000원 정도에는 팔아야 시설비 빼고 본전이니까 팔 때마다 1000원 이상 손해 나는 거야.”라면서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이어 “11~12월에만 상추농사로 2000만원을 손해 봤어.”라며 도저히 농사 짓지 못하겠다는 표정이다.

하지만 이날 서울 가락시장에서 거래된 청상추 4㎏의 도매가는 7000원(중급). 산지보다 40% 비싼 가격으로 대형마트나 중도매인에게 넘겨졌다. 그 후 강서구 가양동 홈플러스에 진열된 청상추 200g의 가격은 1280원(4㎏으로 환산하면 2만 5600원)이었다. 소비자들은 농민이 최초 판매하는 금액의 5배를 주고 청상추를 사는 것이다. 김씨는 “유통단계 문제 많지. 해마다 반복되잖아. 그런데 그게 이제 와서 고쳐지겠어.”라면서 “직거래 그게 쉬운 일 같으면 벌써 됐겠지.”라고 정부의 유통구조 개선의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것 보라고.” 장부를 꺼내 들척이면서 손가락으로 가리켰다.

손때 묻은 장부에는 ‘2010년 1월 4일 4㎏ 3만 9800원’이라고 적혀 있었다. 2009년 1월 4일에도 4㎏ 산지 가격이 2만 4000원이었다. 그는 “겨울에 4㎏ 5000원이면 농사 짓지 말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상추는 ‘농민-도매상-중간도매상-소매상-소비자’ 등 3~4단계를 거쳐 식탁에 오른다. 농산물유통공사가 지난해 조사한 유통경로 조사에 대입할 경우 농민이 생산한 상추 100상자 가운데 군대·학교 급식 등으로 직거래되는 11상자를 제외한 89상자에서 중간 유통비용이 발생한다. 이 중 87상자는 도매상, 중간도매상, 대형유통업체 등 최대 3단계의 유통 과정을 거쳐 소비자에게 팔린다. 평균적으로 농민이 손에 쥐는 돈은 최종 소비자가격의 27%에 불과하다. 나머지 72.6%는 도매상과 소매상이 가져간다. 유통마진이 원가의 3배 가까이 되는 셈이다.

이천 김양진 서울 윤샘이나기자 ky0295@seoul.co.kr
2011-01-06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