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따른 40대 가장의 손익계산서
2009년 시중 은행에서 양도성 예금증서(CD) 연동 변동금리 조건으로 1억원의 주택담보 대출을 받아 이자만 갚아 온 40대 A씨. 한국은행이 13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자 CD금리가 전날보다 0.18%포인트 올랐다. 보통 3개월마다 돌아오는 A씨의 금리조정일이 14일로 맞아 떨어진다면, 당장 연 18만원의 이자를 더 내게 된다.●코픽스 금리 추이도 지켜봐야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14/SSI_20110114004401.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14/SSI_20110114004401.jpg)
한국은행이 올해 추가로 기준금리를 올린다면, A씨의 대출이자 부담은 그만큼 많아질 것이다. A씨는 자신이 가입하고 있던 주택담보대출을 장기 고정금리 대출이나 코픽스(COFIX) 연동 대출로 갈아타야 하는지를 고민할 시점이 된 것이다. 코픽스는 9개 시중은행의 정기예금과 상호부금, CD 등 8개 상품금리를 가중평균해 매달 15일 은행연합회가 발표하는 주택담보 대출 기준금리다. CD금리보다 비슷하거나 다소 높은 수준이지만, 금리 변동폭이 적은 게 코픽스의 특징이다. 금리가 계속 오른다면 코픽스 연동 대출을 선택하는 게 유리하다.
●집값 기대감 없어 이자부담 클 듯
그렇다고 기존 대출금을 무작정 코픽스로 갈아타기 해서는 안 된다. 예컨대 금리가 낮았던 2005년에 대출을 받았다면, 기존 대출을 유지하는 게 나은 방법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 가산금리가 높게 책정된 대출을 유지하고 있을 때에만 코픽스로 갈아타는게 유리하다.”고 선을 그었다.
갈아타기를 하기 전에 대출의 성격도 따져야 한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김완중 연구위원은 “금리가 인상된다는 방향성은 예측이 된 상태였기 때문에 4~5년 이상 중·장기 대출의 경우 이미 금리 인상 요인이 반영된 상태였다.”면서 “단기적으로 2년 이하 단기대출을 중심으로 기준금리 인상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출 이자가 오르는 폭 만큼 예금 이자가 따라 오를지는 미지수다. 이날 3년물 국고채 수익률이 0.10%포인트 올랐지만, 국민은행만 “수시입출금식예금(MMDA)과 정기예금 금리를 최고 0.10~0.20%포인트까지 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다른 은행들은 예금금리 인상폭과 시기를 저울질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아직까지도 시중 유동성이 풍부하다는 인식이 강해 은행들이 공격적으로 자금조달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1-01-14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