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나우스 자유무역지역 르포
지구 반대편에 위치한 남미의 대국 브라질이 한국 기업들의 생산 및 기술 전초기지로 거듭나고 있다. 국내총생산(GDP) 2조 1000억 달러로 세계 7위 경제강국이자 자원부국인 브라질에 삼성·LG·현대차 등 국내를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생산 공장을 가동하며 ‘제2의 내수시장’으로 만들어가고 있다. 브라질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의 생산 현장을 서울신문이 최근 다녀왔다.![아마존 밀림 한 복판에 자리잡은 브라질 마나우스의 LG전자 생산공장에서 현지 근로자들이 액정표시장치(LCD) TV를 조립하고 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18/SSI_20110118190928.jpg)
![아마존 밀림 한 복판에 자리잡은 브라질 마나우스의 LG전자 생산공장에서 현지 근로자들이 액정표시장치(LCD) TV를 조립하고 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18/SSI_20110118190928.jpg)
아마존 밀림 한 복판에 자리잡은 브라질 마나우스의 LG전자 생산공장에서 현지 근로자들이 액정표시장치(LCD) TV를 조립하고 있다.
아마존 밀림 한복판에 자리잡은 마나우스의 LG전자 생산공장에 들어서니 1970~80년대 우리나라의 TV 공장에서 흔히 보던 광경이 펼쳐졌다. 길고 긴 생산라인을 따라 현지 근로자들이 한줄로 서서 자신이 맡은 부품을 직접 조립·정리하고 있었다. 라인마다 65명씩 근로자가 모여 현재 브라질에서 없어서 못 판다는 30인치대 액정표시장치(LCD) TV를 만들고 있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19/SSI_20110119024638.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19/SSI_20110119024638.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19/SSI_20110119024650.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1/19/SSI_20110119024650.jpg)
세계 5번째로 큰 면적인 브라질에서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아마존과 강 주변 저지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45%나 된다. 마나우스가 있는 아마조나스 주의 끝에서 배로 다른 끝까지 이동하는 데만 33일이 걸릴 정도다.
마나우스는 지속되는 아마존 삼림 파괴를 최소화하고 현지 주민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1967년 브라질 정부가 자유무역지역으로 조성한 곳이다. 삼성과 LG를 중심으로 브라질 현지 업체 등 500여 업체가 입주해 있다.
이곳에서 생산한 제품을 배로 운송하면 주 소비지역인 상파울루까지 한달 정도 걸린다. 우리나라에서 만들어 가지고 오는 것과 비슷한 시간과 비용이 든다. 그럼에도 글로벌 기업들이 이곳에 공장을 짓고 생산을 늘려가는 이유는 브라질 정부로부터 수입세, 공업세 등에서 최대 100%의 세금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어서다. 브라질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중남미 지역을 아우르는 거점기지로 최적이라는 게 업계 설명이다. 삼성전자도 이곳에 생산공장을 운영하며 LG전자와 브라질 전체 시장점유율 1~2위를 다투고 있다. 황기상 코트라 상파울루 코리아비즈니스센터 부센터장은 “2014년 월드컵과 2016년 올림픽을 앞두고 지하철과 공항·항만·도로 등 대형 인프라 사업이 많은데, 브라질 정부가 한국을 중요한 산업 협력 파트너로 여기고 있어 앞으로 한국 기업들에 더 많은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글 사진 마나우스(브라질)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1-01-19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