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는 돈’ 2000조

‘노는 돈’ 2000조

입력 2011-01-21 00:00
업데이트 2011-01-21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예금취급기관에 풀린 유동성이 2000조원에 육박해 금리 상승을 제한하고, 물가를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예금취급기관의 유동성은 지난해 11월 현재 1982조원으로 집계됐다. 예금을 받지 않는 보험사 등을 뺀 전체 금융권에 2000조원에 가까운 돈이 풀려 있다는 얘기다. 예금취급기관의 유동성 규모는 약 7년 만에 곱절로 커졌다.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같은 기간 50% 정도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금융 덩치가 실물보다 두배 빨리 불어난 셈이다.

이럴 경우 금리를 떨어뜨려 물가를 자극하는 요인이 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정성태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막대한 유동성이 제대로 거둬들여지지 못한 결과 당국의 기대만큼 금리가 오르지 못하고 있다.”면서 “나라 밖에서 유입된 유동성이 증가한 것도 한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한은 관계자는 “경제가 회복되면서 유동성 조절에 나서고 있지만 금융위기 때 풀린 유동성이 워낙 많아 여전히 규모가 큰 상황”이라면서 “지나친 유동성은 물가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단기 유동성은 주식과 부동산 등 자산시장의 기회를 엿보다가 단번에 쏠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11-01-21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