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급등 생산비↑… 수요는↓ 졸업·입학시즌 불구 가격하락
졸업식과 밸런타인데이 등 특수가 끼어 있는 2월이지만 주요 꽃 경매 가격은 시들하다. 졸업식 등 기념일에 꽃을 선물로 주고 받는 수요가 줄어드는 데다가 중국 조화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특히 최근 유가 급등은 화훼 농가 입장에서는 생산비 증가로 가격 상승 요인이지만 수요가 줄어들어 실제로는 꽃 가격이 하락하게 된다. 수요자들의 입장에서 물가 상승으로 생필품 지출이 늘면서 다른 품목의 지출을 우선적으로 줄이기 때문이다. 꽃값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현상은 ‘꽃의 경제’에서만 나타나는 독특한 상황이다. 23일 농수산유통공사에 따르면 이달 들어 이날까지 안개꽃(1속) 평균 경매가격은 지난해 2월 8623원에서 7375원으로 1248원(14.5%) 떨어졌다. 2009년 2월 1만 1314원과 비교하면 2년 만에 3939원(34.8%)이 감소한 것이다. 튤립(10송이)은 지난해 2월 4581원에서 이달 4368원(4.6%)으로, 국화(10송이)는 4458원에서 4214원(5.5%)으로 하락했다. 백합(10송이)은 4943원으로 지난해 2월의 4288원보다는 올랐지만 2009년 2월의 6314원에 비해서는 21.7% 하락했다. 졸업식 꽃다발에 주로 쓰이는 심비디움(10송이)은 지난해 1336원에서 1161원으로 13% 내렸다. 밸런타인데이 특수를 누리는 장미(10송이)는 지난해 2월 6973원에서 올해 2월 6977원으로 비슷한 가격이지만 이미 특수가 끝난 상황이어서 이달 말까지 200~300원은 족히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주요 꽃 가격의 하락은 장기적인 추세다. 우리나라 1인당 연간 꽃소비량은 2005년 2만 1000원으로 늘었지만 2009년에는 1만 7000원으로 감소했다. 꽃의 소비가 장식용보다는 기념일 축하용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선물변화 추이에 따라 수요 감소가 클 수밖에 없다. 상인들이 공급물량을 2월에 한꺼번에 쏟아내는 경향도 가격 하락 이유 중 하나다. 꽃 경매사 김모(44)씨는 “지난 7일에는 공판장에 8000박스의 꽃이 나왔는데 역대 가장 많은 물량이었다.”면서 “가격이 비쌀 때 물량이 집중되면서 꽃 가격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고 전했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1-02-24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