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입에 달려 있다

그의 입에 달려 있다

입력 2011-03-04 00:00
업데이트 2011-03-04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일 금통위 금리동결? 인상?

지난 1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에서 ‘미시 대책’의 한계를 지적한 금통위원들이 오는 10일 예정된 금통위 회의에서 통화 정책(금리)을 통한 ‘거시 대책’으로 물가 잡기에 나설지 주목된다. 특히 ‘베이비 스텝’(아기 걸음식의 금리 인상)을 강조한 김중수 한은 총재가 2월 금리 동결에 이어 3월엔 인상으로 엇박자 계단을 밟아 나갈지 관심이 집중된다.

이미지 확대


올해 들어 물가는 날고 있다. 1월 물가는 4.1%였고, 2월은 4.5%로 치솟았다. 정부의 물가억제 정책인 미시 대책으로는 약발이 서지 않고 있다. ‘리비아 쇼크’로 급등한 국제유가(배럴당 100달러대)는 이달부터 물가에 본격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물가상승률 5%대 진입이 눈앞에 다가온 것이다.

한은이 지난해 하반기 물가 잡기에 선제적으로 나서지 못한 것이 지금의 ‘물가대란’의 한 원인이었다는 것이 시장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이에 따라 한은 금통위도 정부 대책을 지켜보는 수동적 자세에서 벗어나 심각한 고민에 빠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가계부채와 부동산 등 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급력이 크더라도 금리를 통한 물가잡기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커보인다.

한 금통위원은 지난 1월 금통위 회의에서 “3%를 상회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개월째 지속되고 있으며, 1월엔 4% 수준에 근접할 전망”이라면서 “통화정책의 정상화는 이미 그 타이밍을 놓쳤다고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시장은 조심스럽다. 인상과 동결 전망이 엇갈린다. 시장은 2월 소비자물가(4.5% 상승)가 발표되기 전까지만 해도 금리 동결에 무게중심이 쏠렸었다. 최석원 삼성증권 연구원은 3일 “김 총재 취임 이후 지난해 환율 전쟁과 남유럽 재정위기를 거치면서 그나마 시장에 형성된 컨센서스가 글로벌 경제가 불확실할 경우 한은은 금리 동결을 결정한다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2월 물가가 4.5%로 치솟자 분위기가 달라졌다. 두달 연속 4%대의 물가상승률을 보이는 데도 불구하고 한은이 금리를 동결한다면 비난 여론을 감당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해서다. 강중구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중동사태에 따른 불확실성이 크지만 최근 물가가 너무 높기 때문에 한은이 이를 무시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골드만삭스는 애초 한은이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최근 동결로 바꿨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11-03-04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