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 5%대 진입 시간문제?

물가상승률 5%대 진입 시간문제?

입력 2011-03-05 00:00
업데이트 2011-03-05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물가가 올해 어디까지 치솟을까.

원자재 대란과 글로벌 금융위기로 물가가 급등한 2008년에서 어느 정도 답을 찾아줄 수 있을 것 같다. 올해 ‘중동 사태’와 원자재값 급등에 따른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인플레 요인 등이 비슷해 보이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특히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환율과 유가, 국제 곡물가격, 원자재값 추이가 2008년과 유사한 수치거나 비슷한 궤적을 그리고 있다.

비교 기준이 다르고, 경제 환경도 달라 단순 비교할 수 없지만 올해 중동 사태와 원자재값 급등이 장기화된다면 5%대 진입은 시간문제다. 한국은행 측은 “단순히 숫자로 2008년과 올해의 거시경제 상황을 비교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올해 1~2월에 기록한 곡물 등 각종 원자재 가격이 2008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2008년 물가는 전년 대비 4.7% 뛰었다. 6~9월엔 4개월 연속 5%대의 고공행진을 지속했다. 물가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경제지표를 보면 국제유가(두바이유)는 연평균 배럴당 94달러 수준이었다. 2008년 7월엔 월평균 처음으로 131달러를 돌파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곡물과 육류, 어류 등의 가격을 조사해 발표하는 ‘국제식품가격지수’는 2008년 3월 218에서 6월 224를 기록했다. 글로벌 원자재 가격 추이를 보여주는 ‘로이터상품가격지수’(비철금속+식품)도 2008년 3월 2900대까지 치솟았다.

국제금융센터는 4일 발표한 ‘국제 원자재시장 동향 및 주요 이슈’ 보고서에서 “중동·북아프리카 지역의 정정불안이 빠른 시일 내에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국제유가의 추가 상승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중동 사태가 단기간에 해소되지 않는다면 이르면 이달부터 5%대의 물가가 현실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11-03-05 1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