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 ‘뱅크런’ 한풀 꺾일까

프라임 ‘뱅크런’ 한풀 꺾일까

입력 2011-06-11 00:00
수정 2011-06-11 0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프라임저축은행의 대량 예금 인출(뱅크런) 규모가 사흘 만에 1170억원에 이르렀다. 그러나 기세는 한풀 꺾인 분위기다. 10일에도 예금을 찾으려는 고객들의 발길이 이어졌으나 인출 규모는 줄었다.

이날 프라임저축은행 5개 점포에서 인출된 금액은 290억원으로 집계됐다. 8~9일 전체 인출 규모는 880억원으로 사흘 만에 전체 수신의 9%가 빠져나갔다.

예금 인출이 다소 잦아든 데는 프라임저축은행이 지점 크기를 고려해 하루 예금 인출 처리 고객 수를 150~250명으로 제한하고 있고, 전날 인터넷 뱅킹이 접속자 폭주로 마비된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인출하지 못해도 번호표라도 받겠다는 고객들이 꾸준히 점포를 찾고 있다. 대형 지점인 테크노마트점에는 오전에만 600여명의 고객이 다녀갔다.

프라임저축은행 관계자는 “자체적으로 준비한 유동성 1900억원으로 이번 사태를 견뎌낼 수 있을 것”이라면서 “주말 동안 고객들의 불안 심리가 안정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도 “언제라도 지원할 수 있게 900억원을 준비해 놓은 상태”라면서 “지금 추세라면 유동성 지원은 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프라임저축은행 예금 인출 사태와 관련, 가능한 모든 방안을 강구해서 지원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보험 관련 간담회 참석에 앞서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는 “유동성 지원이 충분히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1-06-1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