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경기선행지수 발표
선진국과 신흥국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14일(현지시간) OECD 국가 및 브릭스(BRICs) 국가의 4월 경기선행지수(CLI)를 발표하고, 미국과 독일을 제외한 선진국과 브릭스 경제 대부분이 성장 모멘텀을 상실하고 있다고 분석했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6/16/SSI_20110616020621.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6/16/SSI_20110616020621.jpg)
OECD는 이날 회원국의 CLI가 103.0으로 전달과 같은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유로권 국가들과 브릭스 국가인 브라질, 중국, 인도, 러시아의 지수는 모두 하락했다. OECD는 “중국의 경제 활동이 주춤해졌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브라질과 인도도 경기가 둔화됐고, 러시아 역시 성장 모멘텀 상실의 첫 조짐을 보였다.”고 밝혔다.
유로권 선진국들도 둔화 양상을 보였다. 프랑스는 전달 102.2에서 101.7로 하락했으며, 이탈리아도 102.1에서 101.6으로 떨어졌다. 유로권 전체로 보면 103.1에서 102.8로 떨어졌다. 일본은 대지진 충격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해 지수 산정 대상에서 제외됐고, 한국은 5개월 연속 100.5를 기록했다.
최근 OECD 평균치를 계속 웃돌았던 미국은 4월에도 가까스로 성장세를 유지했으나 향후 성장에 대해서는 비관적이다. 무엇보다 CLI의 증가폭이 둔화되고 있는 점이 이 같은 우려를 낳고 있다.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가 3년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을 나타낸 것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미 노동부는 15일 가격변동이 심한 에너지와 식품류를 제외한 5월 근원 소비자물가가 전월 대비 0.3%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2008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성장 둔화는 올 하반기쯤 풀릴 것으로 예측됐다. 시장 예측기관인 무디스 어낼리틱스의 라이언 스위트 이코노미스트는 “최근의 경기 둔화세에도 불구하고 소비자가 놀라지 않고 있다.”면서 “올 하반기에는 ‘소프트 패치’(경기 회복기의 일시적 둔화)에서 벗어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용어 클릭]
●경기선행지수(CLI) 경기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경기지표로 미래의 경기가 상승 혹은 하강할 것인지 예측할 때 사용된다. 보통 4~6개월 후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로 쓰이며 산업활동, 주택, 금융·통화, 국내총생산(GDP) 등의 흐름을 복합적으로 계산한다. CLI가 100 이상에서 증가하면 경기 팽창, 감소하면 경기 하강을 의미한다.
2011-06-1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