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불안 ‘미니쇼크’지만 현재진행형”

“글로벌 금융불안 ‘미니쇼크’지만 현재진행형”

입력 2011-08-19 00:00
수정 2011-08-19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제금융센터 “2008년 비해 충격흡수 여력 늘어”

미국에 대한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신용등급 강등으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불안은 2008년 리먼 브러더스 도산에 따른 글로벌 금융위기에 비해서는 ‘미니 쇼크’로 평가됐다. 그러나 잠재적 돌발 악재가 상존하는 현재 진행형으로 상당 기간 지속될 전망이다.

국제금융센터는 18일 ‘최근 글로벌 금융불안, 리먼 사태의 재연인가’라는 보고서에서 이번 금융불안은 2008년 사태와 같으면서도 다르다고 지적했다. 두 사태 모두 신뢰가 상실되고, 은행권이 타격을 입었으며, 위기의 전조가 있었고, 주가 급락에 안전자산 선호 등 금융시장의 반응 등이 비슷하다. 리먼 사태 발발 6개월 전 미국의 5대 투자은행 베어스턴스가 도산했다는 것이 전조였다면 이번 위기는 그리스의 재정 위기가 전조에 해당한다고 센터는 평가했다.

하지만 원인과 전개 과정, 그리고 지금까지의 결과는 다르다. 리먼 사태가 주요 민간 은행과 개인들의 과도한 빚에서 촉발됐지만 이번 사태는 공공부문, 즉 정부의 부채가 원인이다. 2008년에는 비우량주택담보대출(서브프라임모기지) 문제가 다른 파생상품으로 확대되면서 불확실성이 생겼지만 지금은 이미 알려진 문제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금융위기가 실물경제 악화로 확산됐지만 이번에는 실물경제 부진이 직접적 원인이다. 3년 전에 비해 미국 기업의 현금 보유 증가, 기업과 개인의 부채 축소 등 충격을 흡수할 여력이 증가했다. 국제금융센터는 지금까지의 금융불안은 2008년 리먼 사태와 비교해서는 미니 쇼크 수준이지만 금융불안 전개 속도가 빠르다고 우려했다.

시장의 요구는 세 가지로 요약된다. 유럽 재정위기가 확산되는 것을 막고, 세계 경제가 더블딥(경기 이중침체)으로 악화되지 않는다는 확신과 글로벌 금융위기가 확대될 경우 주요국이 적극적으로 방어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 안남기 연구위원은 “시장의 요구를 확인하는 데는 상당 기간이 소요되는 만큼 글로벌 금융불안도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면서 “금융불안이 확대될 경우 주요국들이 시장 안정을 위해 영향력 있는 대책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1-08-19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