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64억弗… 유로화 등 약세탓
지난해 12월 말 현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3064억 달러로 평가됐다. 전달보다 22억 3000만 달러 줄어 두달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지난해 10월 말 외환보유액은 3109억 달러였다.한국은행은 3일 외환보유액이 감소한 이유가 유로화와 파운드화의 약세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유럽 재정위기가 계속되면서 유럽계 통화로 된 자산을 미국 달러화로 환산한 금액이 줄었다는 것이다.
지난해 12월 중 유로와 파운드의 가치는 각각 3.7%, 1.0% 떨어졌다. 한은 관계자는 “우리 외환보유액은 기타 통화 비중이 높아 환율 변동에 민감한 편”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외환보유액의 다변화를 위해 유로 등 기타 통화자산을 꾸준히 늘려왔다. 2010년 말 기준 외환보유액 가운데 미 달러화를 제외한 기타 통화자산은 36.3%에 이른다.
이에 따라 유럽 재정위기가 악화해 유로 약세가 계속되면 외환보유액 3000억 달러 선이 무너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은 관계자는 “유럽 재정위기와 지정학적 위험 탓에 외환보유액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전달보다 한 단계 상승한 세계 7위로 평가됐다. 중국이 1위였고 일본, 러시아, 타이완 등이 뒤를 이었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2-01-0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