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銀 노조에 강성 이미지 부담…조기인수 마무리 위해 책임진 듯
외환은행 인수를 주도해 온 김종열(60) 하나금융지주 사장이 11일 전격적으로 자리에서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승유 하나금융 회장의 유력한 후임자로 거론됐던 김 사장이 돌연 사퇴하면서 금융가에서는 갖가지 해석이 나오고 있다.![김종열 하나금융 사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1/11/SSI_20120111212320.jpg)
![김종열 하나금융 사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1/11/SSI_20120111212320.jpg)
김종열 하나금융 사장
김 사장은 이날 “외환은행을 인수하려면 두 조직 간 통합과 융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대의를 위해 개인을 희생하겠다.”고 밝혔다. 하나금융에 인수되는 것을 강력히 반대해 온 외환은행 노동조합에 자신이 강성 이미지로 보여 통합 작업에 걸림돌이 되는 건 아닌지 고민했다는 것이다. 그는 “연초부터 고심하다 최근 마음을 굳혔다.”고 덧붙였다.
금융권에서는 김 사장이 정체된 외환은행 인수 문제를 조기에 마무리 짓기 위해 책임지고 물러난 것이라고 보고 있다. 시중은행의 한 임원은 “금융당국이 하나금융의 외환은행 자회사 편입을 앞두고 론스타에 대한 산업자본 판단 여부, 정치권의 감사 추진 등 악재가 남아 있어 하나금융에 부담이 되고 있다. 김 사장이 이에 ‘국면 전환용’으로 몸을 던진 것 아니겠는냐.”라고 분석했다.
김 사장이 ‘포스트 김승유’를 향한 후계자 경쟁에서 배제되면서 갑작스럽게 사의를 표명했다는 시각도 있다. 하나금융 고위 관계자는 “김 사장이 전날까지도 사업 구상을 함께하는 등 평소대로 업무를 해 왔다.”며 놀라움을 나타냈다. 김 사장은 김정태 하나은행장, 윤용로 지주 부회장 등과 함께 차기 지주 회장 후보로 거론돼 왔다.
김 사장은 1978년 하나금융의 전신인 한국투자금융에 입사해 김 회장과 함께 하나금융을 국내 4대 금융지주로 키워냈다는 평을 받고 있다. 하나금융은 다음 달 초 이사회와 3월 주주총회를 통해 새 사장을 선임할 예정이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2-01-1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