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찬호 축산정책관 일문일답
![권찬호 축산정책관](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1/16/SSI_20120116182425.jpg)
![권찬호 축산정책관](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1/16/SSI_20120116182425.jpg)
권찬호 축산정책관
→정부가 중장기 대책만 내놓아 당장 산지 송아지값 폭락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가장 빠른 대책은 소비를 촉진하는 것이다. 음력 설을 전후해 한우 선물세트로 유통량을 늘렸다. 육우는 유통 물량이 한우의 10%도 안 되지만 한우와 수입 소고기 사이에 끼어 시장이 사라지고 있어서 문제다. 대형마트나 홈쇼핑 등 소비자들이 접할 수 있는 유통 통로를 찾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육우 농가는 입식 지원금을 요구했는데.
-그보다는 육우 거래 시장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육우는 수입산보다 신선하고 한우보다 값이 싸기 때문에 적정 가격과 유통망이 갖춰지면 자연스럽게 시장이 형성될 것이다.
→여전히 비싼 소매가격 때문에 한우 소비 촉진이 쉽지 않다.
-무조건 한우 고기값을 낮추는 게 능사는 아니다. 수요·공급에 따라 적정 가격이 형성되어야 한다. 최근 서울시청 등지에서 한우를 시중 가격보다 30% 싸게 팔자 인파가 몰렸는데 전 한우 농가가 그렇게 팔면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 농가가 손해를 보면 한우산업 자체가 붕괴될 수도 있다는 점이 우려스럽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2-01-17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