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번호 그대로 SK텔레콤·KT·LG유플러스(U+) 등 이동통신사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번호이동 제도가 이동통신 재판매(MVNO) 서비스로 확대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동통신 3사 등 망 보유 사업자(MNO)와 이들의 망을 빌려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MVNO 간의 번호이동이 오는 4월부터 전면 시행된다고 31일 밝혔다.
KT와 LG유플러스의 망을 빌린 MVNO는 이달부터 번호이동을 보장받고 있지만, SK텔레콤을 통한 MVNO는 오는 4월1일 번호이동을 시작할 수 있다.
번호이동은 MVNO가 영업전산(청약·가입자관리시스템)이나 HLR(가입자위치등록시스템) 등 주요 설비를 보유했느냐에 따라 시행 여부가 결정된다.
KT와 LG유플러스는 단순 재판매 사업자를 포함한 MVNO에 자사의 영업전산 등 설비까지 빌려준다. 따라서 이들 사업자의 MVNO는 KT나 LG유플러스와 마찬가지로 이미 다른 MNO·MVNO로 번호이동을 하고 있었다.
KT와 LG유플러스는 최근 시스템 개선 작업을 마쳐 이달 들어 MVNO와 자사 간 번호이동, 자사 MVNO간 번호이동도 시작했다.
반면 SK텔레콤의 MVNO는 SK텔레콤과 분리된 영업전산과 HLR을 이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SK텔레콤의 MVNO인 한국케이블텔레콤(KCT)은 자체적으로 번호이동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3월 말까지 각종 연동 테스트를 받아야 한다.
방통위는 영업전산만 있고 HLR은 없는 MVNO도 오는 7월1일부터 번호이동을 시행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동통신 3사 등 망 보유 사업자(MNO)와 이들의 망을 빌려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MVNO 간의 번호이동이 오는 4월부터 전면 시행된다고 31일 밝혔다.
KT와 LG유플러스의 망을 빌린 MVNO는 이달부터 번호이동을 보장받고 있지만, SK텔레콤을 통한 MVNO는 오는 4월1일 번호이동을 시작할 수 있다.
번호이동은 MVNO가 영업전산(청약·가입자관리시스템)이나 HLR(가입자위치등록시스템) 등 주요 설비를 보유했느냐에 따라 시행 여부가 결정된다.
KT와 LG유플러스는 단순 재판매 사업자를 포함한 MVNO에 자사의 영업전산 등 설비까지 빌려준다. 따라서 이들 사업자의 MVNO는 KT나 LG유플러스와 마찬가지로 이미 다른 MNO·MVNO로 번호이동을 하고 있었다.
KT와 LG유플러스는 최근 시스템 개선 작업을 마쳐 이달 들어 MVNO와 자사 간 번호이동, 자사 MVNO간 번호이동도 시작했다.
반면 SK텔레콤의 MVNO는 SK텔레콤과 분리된 영업전산과 HLR을 이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SK텔레콤의 MVNO인 한국케이블텔레콤(KCT)은 자체적으로 번호이동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3월 말까지 각종 연동 테스트를 받아야 한다.
방통위는 영업전산만 있고 HLR은 없는 MVNO도 오는 7월1일부터 번호이동을 시행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