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단체 ‘계좌 바꾸기 운동’ 돌입

소비자단체 ‘계좌 바꾸기 운동’ 돌입

입력 2012-03-16 00:00
수정 2012-03-16 00: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예대마진 챙기는 은행 대상 국내 2차 OCCUPY 운동

소비자단체들이 예금금리는 찔끔 주고 대출금리는 높게 받아 이윤을 챙기는 은행의 계좌를 바꾸는 운동을 시작했다. 소비자시민모임(소시모)은 15일 세계소비자권리의 날을 맞아 ‘우리의 돈, 우리의 권리’라는 이름으로 ‘폭리은행’ 계좌 바꾸기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가을 미국 뉴욕의 월가 점령 시위로 촉발된 국내 금융소비자 보호운동의 2차 행동으로 해석된다. 일부 시민단체는 지난해 10월부터 연말까지 국내 금융권의 탐욕을 규탄하는 ‘여의도 점령 시위’를 벌였지만 주제가 키코(KIKO) 피해 중소기업, 부실 저축은행 투자 피해 등으로 한정돼 일반 시민들의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했다. 반면 이번 소시모의 캠페인은 피부에 와 닿는 시중 은행의 금리를 문제 삼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자혜 소시모 사무총장은 “은행들은 예대마진(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으로 쉽게 얻은 수익을 직원들의 성과급 잔치 등에 쓰고 예금자에게 돌려줄 생각은 안 한다.”면서 “정상적인 시장이라면 고객에게 유리한 금리를 제시하려고 경쟁이 치열할 텐데 국내 은행의 상품들은 금리 차가 거의 없어 담합 의심마저 든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국내 고객들은 은행들의 금융서비스에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시모가 지난달 21일부터 보름 동안 53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1.4%가 은행 계좌를 옮긴 경험이 없었다. 그 이유로는 다른 은행이 특별히 좋은 거래 조건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되지 않고(17.7%), 은행별로 금리 등을 비교하기 어려운 점(10.2%) 등이 꼽혔다. 응답자의 93.2%는 다른 은행이 예금이자를 높게 주면 계좌를 바꿀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대출이자가 낮은 은행으로 갈아타겠다는 답변도 86.6%였다.

소시모는 계좌 바꾸기 운동을 국제소비자기구(CI)에 속한 전 세계 120개국 220개 소비자단체와 함께 진행한다고 밝혔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2-03-16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