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성3호 발사관련 선박·항공 안전강화

광명성3호 발사관련 선박·항공 안전강화

입력 2012-04-10 00:00
업데이트 2012-04-10 14: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선박에 안전 방송, 낙하 예상지역 통과 항공기는 우회토록

국토해양부는 12-16일 사이로 예정된 북한의 장거리로켓 ‘광명성 3호 위성’ 발사에 대비해 선박과 항공 운항 안전대책을 강화한다고 10일 밝혔다.

국토부는 상황근무 강도를 높이고 선박의 동정을 철저히 감시할 계획이다. 서해상의 추진체 낙하 예상 지역을 통과하는 항공기는 우회하도록 할 예정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1단계 추진체 낙하 위치는 군산 서쪽 170㎞ 해역이며 2단계 추진체 낙하 위치는 필리핀 동쪽 140㎞ 해역이다.

선박에 대해서는 11일부터 발사 종료시까지 2시간마다 전국 15개 해상 교통관제센터에서 선박통신기를 통해 안전 방송을 한다.

서해권역 군산·평택·대산·인천·목포 해상 교통관제센터에서는 집중관제를 실시할 예정이다. 더 많은 관제사를 배치하며 낙하지점을 관제하는 전담 관제사를 두기로 했다.

관제센터와 선박 간 원활한 통신을 위해 통신장비 정비도 철저히 한다.

국토부는 10일 비상시에 대비해 국방부와 해경, 선박, 선사 등 관계기관과 대책회의를 열고 협조 체제를 긴밀히 유지하기로 했다.

한편 항공기에 대해서는 발사 예정 기간 운항을 통제하고 관리업무를 강화한다.

국토부는 발사 예정 기간(12-16일) 중 낙하 예상지역을 임시 비행금지 구역으로 지정하고 모든 항공기에 대해 이 지역을 우회하도록 했다.

국적 항공기의 경우 12일과 14일 오전 8시20분께 1단계 낙하예상 지역을 운항할 예정인 제주발 베이징행 대한항공 여객기에 대해 정상 항로에서 180㎞ 떨어진 서울-제주 항공로로 우회토록 했다. 비행시간은 8분 늘어난다.

2단계 낙하예상 지역인 필리핀 동쪽 해역은 필리핀 항공 당국이 오전 6시부터 오후 2시까지 비행을 통제함에 따라 대한항공 12편과 아시아나항공 10편 등 국적기 22편이 대만 쪽 항로로 우회할 계획이다. 비행시간은 20분여 증가한다.

국토부는 공군과 항공사 등과 협력해 발사 예정 기간 항공기 감시와 비상 연락망 체계 구축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