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대기업 등기임원 평균 보수 3억7천만원

1천대기업 등기임원 평균 보수 3억7천만원

입력 2012-05-21 00:00
수정 2012-05-21 10: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보수 전년보다 24%↑..한국CXO연구소 조사SK계열 4개사 임원 보수 톱10에 포진

국내 1천대 기업 등기임원의 작년 평균 보수는 3억7천670만원으로 전년 3억430만원보다 23.8%(7천240만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CXO연구소는 국내 매출 1천대 상장기업의 사업보고서를 토대로 작년 등기임원 보수와 임원보수율 등을 분석한 보고서를 통해 21일 이같이 밝혔다.

삼성전자의 등기임원 평균 보수가 109억원으로 단연 최고를 차지한 가운데 SK이노베이션이 46억4천만원으로 2위를 오르는 등 SK그룹의 4개 계열사가 톱10에 포함됐다.

삼성 SDI는 35억3천만원으로 3위에 올랐고 SK텔레콤은 34억7천만원, SK는 33억1천만원, SK C&C는 32억8천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같은 그룹의 계열사 4곳이 30억원이 넘는 보수를 나란히 받는 경우는 드물다”고 말했다.

CJ그룹의 주력인 CJ제일제당이 28억9천만원으로 7위를 차지, 식품기업중 유일하게 상위 10위에 들었다.

한화케미칼(28억4천만원), 현대백화점(24억원), 삼성테크윈(23억3천만원)도 10위 안에 포함됐다.

삼성그룹 계열사는 상위 20개 기업에 삼성전자와 삼성SDI를 포함한 삼성테크윈, 삼성물산(23억2천만원), 삼성엔지니어링(19억원), 삼성중공업(18억2천만원) 등 6개가 포함됐다.

재계 2위 그룹인 현대자동차그룹 임원들의 평균 보수는 21억원으로 15위에 그쳤다.

주요 그룹별로는 삼성 계열사가 평균 20억7천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SK 14억3천만원, 현대차 10억원, 두산 9억7천만원, 한진 9억2천만원 등으로 파악됐다.

업종별로는 SK텔레콤, NHN(18억5천만원) 등이 포함된 정보통신업종의 임원 보수가 4억8천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특히 코스닥기업인 셀트리온의 임원 보수가 21억2천만원으로 현대차와 삼성엔지니어링, NHN, LG(16억8천만원) 등을 제치고 14위에 올라 눈길을 끌었다.

보고서는 셀트리온의 작년 매출액이 3천억원에 못미쳐 현대차보다 150배나 적다고 설명했다.

셀트리온의 임원보수율은 0.76294%로 매출액 1천억∼5천억원 기업의 임원보수율인 0.15362%보다 4배 이상 높았다

보고서는 임원보수율을 (임원 보수 총액/실제 지급한 임원 수)/개별기업매출액×100으로 산출, 매출액 대비 임원에게 지급한 보수비율로 정의했다.

전체 기업의 임원보수율 평균이 0.14110%인 가운데 임원 보수가 가장 높은 삼성전자의 임원보수율은 0.00902% 수준이었다.

이는 951번째로 낮은 순위에 해당한다.

보고서는 삼성전자 임원들이 절대 금액으로 따지면 최고의 보수를 받는 것이지만 벌어들이는 매출 수준을 고려하면 지나칠 정도로 높은 것은 아니라고 풀이했다.

현대차(0.00491%), LG전자(0.00287%), 현대중공업(0.00246%), 포스코(0.00224%), 에쓰오일(0.00200%) 등은 삼성전자보다 임원보수율이 낮았다.

보고서는 기업마다 등기임원 보수 책정이 다르지만 매출액 등을 고려했을 때 기대치 이상 높게 보수가 책정된 이유에 대해서는 주주 등에게 이해할만한 설명을 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오 소장은 “현행 임원 보수 공개제도는 임원 보수 총액만 공개할 것이 아니라 경영 투명성 차원에서 개별 임원의 보수를 공개하는 것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우리 기업들은 임원별 지분 공시를 통해 지배구조만큼은 선진국 이상의 투명성을 확보하면서도 임원별 보수 공개는 글로벌 기업의 흐름에 뒤처져 있다 그는 지적했다.

이에 대해 재계의 한 관계자는 “임원별 보수 공개는 기업들이 민감해하는 아킬레스건”이라면서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거나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나설 수 있는 분위기를 정부 차원에서 조성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표> 작년 등기임원 보수 상위기업











































































































































































순위기업명금액(백만원)
1삼성전자10,900.0
2SK이노베이션 4,647.3
3삼성SDI3,538.0
4SK텔레콤3,478.0
5 SK3.312.0
6SK C&C3.282.0
7 CJ제일제당2.893.0
8한화케미칼2.849.1
9 현대백화점 2.404.0
10삼성테크윈2.330.0
11 삼성물산 2.321.0
12 현대상선2.292.9
13 한화 2.128.0
14 셀트리온2.125.5
15 현대자동차2.100.0
16 삼성엔지니어링1.903.5
17 NHN1.858.5
18삼성중공업1.824.0
19LG1.682.3
20 E1 1.665.0
<자료제공 : 한국CXO연구소>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