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소나기’속 들꽃·풀 신약 특허 300여건 담겨

소설 ‘소나기’속 들꽃·풀 신약 특허 300여건 담겨

입력 2012-06-19 00:00
수정 2012-06-19 0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황순원의 소설 ‘소나기’에 등장하는 10여종의 들꽃·들풀이 300여건의 신약 특허를 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허청이 소나기에 등장하는 들풀·들꽃의 천연물 의약 특허출원을 분석한 결과다. 소녀가 조약돌을 던지고 단발머리를 나풀거리며 사라지던 갈꽃 밭의 ‘갈대’는 2000년 이후 비만 치료제 등으로 11건이 특허출원됐다. 소년이 징검다리에서 소녀를 흉내내다 달아나던 메밀밭의 ‘메밀’은 혈전치료제 등으로 38건이 개발됐다. 소년이 소녀에게 한 움큼 꺾어준 ‘들국화’(60건)는 항암제와 고혈압, 알레르기 치료제 특허를 갖고 있다. ‘도라지꽃’(136건)은 고지혈증과 당뇨 치료제로 다수 출원됐다.

소녀가 양산으로 흉내낸 ‘마타리꽃’(7건)은 아토피와 심혈관계 질환 및 염증 치료제 등으로, 서울 학교의 등나무 꽃 같다고 생각한 ‘칡’은 치매 치료제 등으로 24건이 활용되기도 했다.

2000년부터 2011년까지 특허등록된 천연물 신약은 2488건이다. 특허청은 들풀·들꽃 전담 심사파트를 설치하는 등 고품질 천연물 신약 특허 획득을 적극 지원키로 했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12-06-1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