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가 넘어서도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사는 인구가 2035년 10만명을 넘을 전망이다. 저출산·고령화로 노인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고 결혼 기피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0일 통계청의 장래 가구 추계를 보면, 혼자 사는 65세 이상 노인 중 미혼자는 2010년 1만 6746명에서 2035년 10만 1243명으로 25년 새 5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혼 노인 중 남성은 같은 기간 6259명에서 3만 7623명으로, 여성은 1만 487명에서 6만 3620명으로 각각 늘어난다. 미혼 독거여성이 독거남성보다 약 1.7배 많아지는 셈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40세 이상 미혼 인구는 1985년 4만 3647명에 불과했지만, 2010년에는 88만 5000명으로 20배 이상 늘었다. 향후 미혼 독거노인이 큰 폭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혼 독거노인도 큰 폭으로 늘 것으로 전망된다. 65세 이상 1인 가구주 중 이혼 인구는 2010년 5만 6291명에서 2035년 32만 5136명으로 4.8배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2035년 65세 이상 1인 가구주(342만 9621명) 중 배우자가 있는 사람은 47만 874명, 사별은 253만 2368명, 이혼은 32만 5136명으로 추산된다.
미혼 독거노인 급증은 노인복지가 취약한 상황에서 심각한 사회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경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혼 독거노인은 경제적인 면은 물론 정서적 측면에서도 불안정해 사회적으로 고립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10일 통계청의 장래 가구 추계를 보면, 혼자 사는 65세 이상 노인 중 미혼자는 2010년 1만 6746명에서 2035년 10만 1243명으로 25년 새 5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혼 노인 중 남성은 같은 기간 6259명에서 3만 7623명으로, 여성은 1만 487명에서 6만 3620명으로 각각 늘어난다. 미혼 독거여성이 독거남성보다 약 1.7배 많아지는 셈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40세 이상 미혼 인구는 1985년 4만 3647명에 불과했지만, 2010년에는 88만 5000명으로 20배 이상 늘었다. 향후 미혼 독거노인이 큰 폭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혼 독거노인도 큰 폭으로 늘 것으로 전망된다. 65세 이상 1인 가구주 중 이혼 인구는 2010년 5만 6291명에서 2035년 32만 5136명으로 4.8배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2035년 65세 이상 1인 가구주(342만 9621명) 중 배우자가 있는 사람은 47만 874명, 사별은 253만 2368명, 이혼은 32만 5136명으로 추산된다.
미혼 독거노인 급증은 노인복지가 취약한 상황에서 심각한 사회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경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혼 독거노인은 경제적인 면은 물론 정서적 측면에서도 불안정해 사회적으로 고립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2-07-1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