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대금 돌려막기’ 리볼빙금리 연 30% 육박
‘카드 대금 돌려막기’에 주로 이용되는 리볼빙 금액 6조여원 가운데 약 2조원이 부실화될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리볼빙 금리도 연 30%에 육박하고 있어 가계부채의 또 다른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다. 아직까지는 돌려막기로 간신히 버티고 있지만 경기가 더 나빠질 경우 동시다발적으로 연체가 터질 위험이 높다는 우려가 나온다. 소비자단체는 리볼빙 금리 실태 조사에 나섰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7/30/SSI_20120730013853.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7/30/SSI_20120730013853.jpg)
29일 여신금융협회와 업계에 따르면 전체 카드사의 리볼빙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6조 1000억원이다. 이 가운데 삼성 등 6개 전업 카드사의 리볼빙 금액은 4조 3000억원이다. 리볼빙이란 카드대금 가운데 일정 비율(20~30%)만 결제하면 나머지 금액은 대출 형태로 자동 전환되는 서비스를 말한다.
금융위원회가 감사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6개 전업카드사의 리볼빙 잔액 가운데 이미 한도를 80% 이상 소진한 금액은 지난해 말 기준 1조 4189억원이다. 감사원 측은 “리볼빙은 상품 특성상 고객이 이용한도를 모두 소진하기 전까지는 연체가 없는 정상 자산으로 보인다.”면서 “하지만 개념 자체가 돌려막기인 데다 경기 상황이 악화되면 한도가 목에 찬 리볼빙의 경우 일시에 부실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6개 전업 카드사의 ‘위험 수위’ 리볼빙만 1조 4000억원이 넘는 만큼 전체 카드사로 확대하면 약 2조원어치가 부실 위험이 높다는 게 감사원의 지적이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7/30/SSI_20120730013907.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7/30/SSI_20120730013907.jpg)
리볼빙 금리도 ‘살인적’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삼성카드는 연 26~30% 금리 고객 비중이 전체 리볼빙 이용자의 58.6%였다. 국민카드도 이 비중이 51.4%나 됐다. 현대카드는 43.1%, 롯데카드 31.9%, 하나SK카드 23.3%, 신한카드 7.8% 순이었다.
소비자시민모임(소시모)은 “카드사들이 전체 리볼빙 고객의 절반 이상에게 30%에 육박하는 고금리를 적용한다는 것은 대부업체나 다름없는 이자놀이를 한다는 의미”라면서 “이자율이 적정한지 자체 조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소시모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카드사에 적정 수준으로 이자율을 낮추도록 요구할 방침이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이자율이 너무 높다는 데는 동의하기 어렵지만 최근 경기 불황이 지속되면서 리볼빙의 부실 위험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 “겉으로는 정상적으로 보이지만 속을 뜯어 보면 할부나 현금 서비스보다 리스크가 매우 크다.”고 털어놓았다. 이에 따라 신규 리볼빙 취급을 중단한 카드사도 있다. 삼성카드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신규 리볼빙을 중단하고, 기존 리볼빙만 유지하고 있다. 삼성카드 측은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신규 리볼빙을 중단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성원기자 lsw1469@seoul.co.kr
2012-07-3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