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소비자물가 1.5%↑…12년 만에 최저

7월 소비자물가 1.5%↑…12년 만에 최저

입력 2012-08-01 00:00
수정 2012-08-01 09: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09년 7월 이후 첫 1%대…생활물가 0.8%↑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1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물가는 작년 7월보다 1.5% 올랐다.

이는 2000년 5월의 1.1%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대로 내려간 것은 2009년 7월(1.6%) 이후 처음이다.

전년 동월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2월 3.1%에서 3월 2.6%로 낮아진 뒤 4월과 5월에는 2.5%, 6월에는 2.2%로 떨어졌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1.2% 오르고, 전달과 비교해서는 보합세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도 1.2%로 나타났다.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0.8% 오르고, 전달보다는 0.5% 떨어졌다.

신선식품지수는 전월 대비 2.4% 내리며 상승세가 꺾였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신선어개(어류와 조개류)는 2.0%, 신선과실은 7.6% 각각 올랐으나 신선채소는 1.0%, 기타신선식품은 5.5% 내렸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에 미친 부문별 기여도를 보면 서비스(0.59%포인트)가 가장 컸고 공업제품(0.46%포인트), 전기ㆍ수도ㆍ가스(0.30%포인트), 농축수산물(0.12%포인트) 순이었다.

전월 대비로는 공업제품(-0.33%포인트), 농축수산물(-0.13%포인트)이 하락세를 이끌었다.

지출 목적별로는 작년 7월 대비로 기타상품 및 서비스(-5.5%), 통신(-3.4%) 등이 하락했다. 의류 및 신발(5.0%), 주택ㆍ수도ㆍ전기 및 연료(4.8%) 등 나머지 부문은 모두 상승했다.

품목 성질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이 전월보다 1.6% 내리고 작년 같은 달보다는 1.5% 올랐다. 고춧가루(70.3%), 파(73.4%), 배추(34.6%) 등이 작년 7월보다 급등했다. 호박(-55.1%), 상추(-33.5%), 돼지고기(-17.6%) 등은 안정세를 보였다.

공업제품에서는 휘발유(-0.9%) 등 석유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0.7% 내렸으나, 전기ㆍ수도ㆍ가스는 6.2% 올랐다.

서비스 가운데 집세는 전세(4.9%)가 높은 상승률을 유지한 탓에 지난해 7월보다 4.2% 올랐다.

공공서비스는 0.3%, 개인서비스는 0.6%로 소폭 상승했다.

공공서비스 중 하수도료(13.4%), 전철료(13.2%), 시내버스료(9.9%) 등이 올랐고 이동전화료(-6.4%), 스마트폰이용료(-1.8%) 등은 내렸다.

개인서비스에선 중학생 학원비(6.0%), 고등학생 학원비(5.4%), 초등학생 학원비(4.9%) 등 사교육비가 상승세를 주도했다. 보육시설이용료(-34.0%)와 학교급식비(-19.1%)는 큰 폭으로 내렸다.

16개 광역시도 중 제주도(0.1%)를 뺀 15개 지역이 1%대의 상승률을 보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