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發 금융위기 오나] 한은 “가계부채·부동산시장 침체, 유럽 재정위기보다 위험”

[부동산發 금융위기 오나] 한은 “가계부채·부동산시장 침체, 유럽 재정위기보다 위험”

입력 2012-08-02 00:00
수정 2012-08-02 01: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금융시스템 위협 요소’ 설문

국내 금융 전문가들은 가계부채와 부동산 시장 침체가 유럽의 재정위기보다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충격이 더 크다고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1일 발표한 ‘시스템적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금융 전문가들은 가계부채와 부동산 시장 침체가 향후 1~3년 안에 국내 금융시스템을 위협할 요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한은이 지난달 63개 금융기관의 경영전략 및 리스크 담당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시스템적 리스크란 금융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즉 금융기관이 스스로 자금을 조달해 가계와 기업에 빌려주는 자금 중개 기능을 상실하고, 1997년 외환위기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처럼 환율, 주가, 금리 등 각종 변수가 요동치며 실물경제에 심각한 파급 효과를 미치는 상황이다.

●은행권 전문가 “EU·中 불안이 걸림돌”

전문가들은 금융 시스템의 가장 큰 위험으로 유럽 국가 채무위기 심화(91.9%·복수응답)를 꼽았다. 이어 가계부채 문제(89.2%), 부동산시장 침체(73.0%)가 뒤를 이었다. 이 두 문제는 올해 상반기 조사에서는 각각 67.6%, 24.3%에 불과했다.

한은은 “전문가들이 유럽 국가 채무위기는 발생 확률은 높지만 영향력은 중간이라고 답했다.”면서 “그러나 ‘가계부채 문제’와 ‘부동산시장 침체’는 발생 확률도 높고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도 높다고 대답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전문가들은 중국경제 경착륙(64.9%)과 미국경기회복 지연(37.8%)을 금융시장의 핵심 위험으로 꼽았다.

응답 주체별로 보면 은행에 속한 전문가들은 가장 큰 위험으로 유럽 국가채무위기와 중국경제 경착륙 등 거시적인 문제를 들었으나 비은행권 전문가들은 가계부채 문제를 가장 큰 위험으로 인식했다. 이는 비은행권이 은행보다 취약계층의 가계대출을 주로 취급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비은행권 “가계부채가 가장 큰 문제”

다만 전문가의 39.2%는 앞으로 3년간 금융시스템 안정성이 높을 것이라고 답해 국내 금융시스템이 크게 흔들리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6개월 전과 비교해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졌느냐’는 질문에는 ‘변하지 않았다’는 답이 대부분(68.9%)이었지만 ‘낮아졌다’(17.6%)가 ‘높아졌다’(13.5%)보다 소폭 많았다.

김용선 한은 조기경보팀장은 “중앙은행 차원에서 시장 참가자들이 어떤 위험을 우선순위로 두고 있는지 확인했다.”면서 “이를 참고해 앞으로 발간할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대책을 내놓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2-08-02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