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감 등쳐먹고…하청대금 후려치고…판촉비용 떠넘기고
벼랑 끝에 몰린 중소기업을 더욱 힙겹게 하는 것은 대기업의 횡포와 업역 침해다. 사회적으로 동반성장, 상생경영을 외치고 있지만 나아진 것은 별로 없다는 것이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8/23/SSI_2012082301103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08/23/SSI_20120823011032.jpg)
22일 관련 업계에 그동안 국내 굴지의 대기업에 각종 인쇄물을 납품하던 D사는 최근 입찰계획을 수립하다가 갑자기 입찰이 취소됐다는 통보를 받고 망연자실해하고 있다.
물론 입찰한다고 다 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그동안의 노하우가 있어서 그런대로 자신도 있었는데 갑자기 목표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사연을 알아본즉 모기업의 인척이 인쇄업을 하는데 그 회사로 일감을 몰아줄 수밖에 없어서 불가피하게 입찰을 없앴다는 것이었다. 대표적인 일감몰아주기였지만 다른 일감이라도 얻어야 하기 때문에 꾹 참고 있다는 게 D사 대표의 얘기이다.
그뿐만이 아니다. 대기업의 각종 비용 떠넘기기도 여전하다. ‘판촉비’와 ‘물류비’ 등 각종 추가 비용을 납품업체에 물리는 관행이 사라지지 않는 것이다. 최근 공정거래위원회가 2011년과 2009년 3개 백화점, 3개 대형마트, 5개 TV 홈쇼핑사 등 11개 대형유통업체의 판매수수료와 납품업체에 대한 판촉행사비를 비교 조사한 결과에서도 이런 문제가 고스란히 드러났다.
대형마트에 시계를 납품하는 한성준(43·서울 양천구)씨는 “할인 기간이라고 가격을 내려라. 물건을 새로 교체하라는 등 대형마트는 수시로 행사나 판촉 미끼상품으로 선정하면서 터무니없는 가격으로 팔라고 요구한다.”면서 “이런 비용은 대형마트가 아닌 모두 협력업체가 부담한다.”고 말했다.
대기업들이 식품가공업계에 ‘돈’과 ‘기술력’으로 밀고 들어오면서 많은 중소업체가 도산했다고 입을 모은다. 또 대부분의 중소 식품가공업체들은 대기업의 하청업체로 전락했다. 즉 자기 상표가 아니라 대기업의 주문자상표부착방식(OEM) 생산만 하는 업체가 된 것이다. 한 식품업체 대표는 “그 많던 햄과 소시지, 두부 등 업체들이 자취를 감춘 지 오래”라면서 “이제 대기업들이 독식하면서 업계를 좌지우지하고 있다.”고 했다.
또 대형마트의 PB(유통업체가 하청을 통해 만든 상품) 상품의 생산방식도 중소기업을 하청 업체로 몰락시키는 원인이기도 하다. 강상훈 한국육가공협회 이사장은 “대기업들이 비용절감을 위해 하청업체의 대금을 후려치고 있다.”면서 “이제 중소기업은 더 이상 설 자리가 없다.”고 말했다.
한준규·강주리기자 hihi@seoul.co.kr
2012-08-23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