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용 신강판 10종 올 추가개발
현대제철은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요즘 적극적인 수요 창출을 통한 수익성 제고로 올해 불황을 정면 돌파하고 있다. 신흥 시장 개척과 신강종 개발이라는 두 가지에 초점을 맞췄다.![박승하(왼쪽 두번째) 현대제철 부회장과 트리베티(세번째) 에사르스틸 인도네시아공장 사장이 지난 4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연강판 장기 공급 관련 양해각서(MOU)를 교환하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현대제철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10/30/SSI_20121030165948.jpg)
현대제철 제공
![박승하(왼쪽 두번째) 현대제철 부회장과 트리베티(세번째) 에사르스틸 인도네시아공장 사장이 지난 4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연강판 장기 공급 관련 양해각서(MOU)를 교환하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현대제철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10/30/SSI_20121030165948.jpg)
박승하(왼쪽 두번째) 현대제철 부회장과 트리베티(세번째) 에사르스틸 인도네시아공장 사장이 지난 4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연강판 장기 공급 관련 양해각서(MOU)를 교환하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현대제철 제공
현대제철 제공
지난 4월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현지 철강사들과 장기 공급 양해각서(MOU)를 교환하고 7월에는 미얀마 기업인들과 추가 수출을 논의하는 등 동남아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다.
지난해까지 현대기아차에서 사용하는 자동차 강판 외판재 13개 강종을 모두 개발 완료했다. 올해는 자동차의 안전성을 좌우하는 초고장력 강판 개발에 집중해 2분기까지 8종의 자동차용강판을 개발하는 등 총 10종의 신강종을 추가로 내놨다.
또 1982년 3월 5일 국내 최초로 H형강을 생산한 이래 축적해 온 기술을 바탕으로 고강도·저온충격보증용강 등 해양플랜트 고부가가치 제품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 포항 공장에 급가속 냉각 설비 도입을 시작으로 올해 인천공장의 생산규격 확대 및 교정설비 증강 등 H형강 기술력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2-10-31 3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