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ㆍ60대, 스마트기기 보유 급증… 50대는 절반 육박

50ㆍ60대, 스마트기기 보유 급증… 50대는 절반 육박

입력 2012-12-13 00:00
수정 2012-12-13 1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방통위·KISA 조사…전국민 64%가 스마트 기기 보유

모바일 인터넷 환경이 사회 속으로 파고들면서 이용계층이 다양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64%에 이를 정도로 대중화하면서 50대 이상 장·노년층의 스마트 기기 보유율과 인터넷 이용률도 급증했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올해 우리나라의 인터넷 이용현황과 환경 등을 분석한 ‘2012 인터넷 이용실태 조사’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 7월1일부터 9월15일까지 전국 3만가구 및 만 3세 이상 구성원 7만3천63명을 대상으로 했다.

조사에 따르면 만 6세 이상 인구 중 63.7%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 스마트 기기를 갖고 있었다. 특히 스마트폰 보유율은 작년 31%에서 63.5%로 배증했다.

스마트 기기 보유 비율은 20대(91%), 30대(87.5%), 40대(72.3%)에서는 압도적으로 높았다. 특히 50대는 작년 9.5%에서 올해 46.8%로, 60대는 작년 4.6%에서 35.9%로 급증했다.

올해 7월 기준 50대와 60대 등 중장년층의 인터넷 이용률(최근 1개월 이내 인터넷을 이용한 사람의 비율)은 각각 60.1%, 38.5%로 작년보다 2.7%포인트, 2.6%포인트 늘었다. 70대 이상 노년층의 인터넷 이용률도 9.7%로 작년보다 1%포인트 증가했다.

3∼9세 저연령층의 인터넷 이용 비율은 88.2%로 작년보다 2%포인트 증가했다. 다만 10·20·30대의 인터넷 이용률은 99% 이상의 포화 상태여서 변화가 거의 없었다. 만 3세 이상 국민의 인터넷 이용률은 78.4%로 집계됐다.

방통위는 “스마트 기기 보유율이 높아져 인터넷 이용 행태가 모바일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과거 인터넷 환경에 다소 소외돼 있던 장·노년층이 신규 인터넷 이용자로 유입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모바일 인터넷 환경이 조성되면서 주 평균 인터넷 이용시간도 작년 15.4시간에서 올해 16.3시간으로 증가했다. 또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이용한다는 사람의 비율도 51.8%에서 58.3%로 6.5%포인트 많아졌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인터넷 서비스는 이메일(84.8%)이었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67.1%), 쇼핑(63.5%), 인스턴트메신저(60.1%), 인터넷뱅킹(43.2%)이 뒤를 이었다.

카카오톡 등 스마트폰을 통한 인스턴트메신저 및 SNS의 이용률은 각각 73.6%와 62.0%로, 작년보다 각각 24.2%포인트, 30.5%포인트 증가했다. 스마트폰으로 인터넷뱅킹을 이용하는 비율도 29.2%로 작년보다 5.4%포인트 늘었다.

SNS 이용자의 58.2%가 ‘하루에 1회 이상’ SNS에 접속하며, 48.7%는 ‘SNS로 다른 사람의 신상정보를 쉽게 찾거나 얻을 수 있다’고 답했다. 또 30.2%는 ‘SNS를 이용하면서 점차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소셜커머스 이용률은 11.5%이며, 주 이용자는 20대(25.1%) 및 여성(12.8%)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커머스를 통해 구매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로는 ‘외식(60.2%)’이 가장 흔했고, 문화공연(47.4%), 패션(44.4%), 미용(26.7%) 등이 뒤를 이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