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본토펀드에 돈이 몰린다

中 본토펀드에 돈이 몰린다

입력 2012-12-14 00:00
업데이트 2012-12-14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초보다 9.2%↑…지난달 1272억

지난달 중국 새 지도부 출범 이후 중국본토펀드에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중국 경제가 최근 의미 있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데다 새 지도부가 본격적으로 경기 부양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가 저점을 찍었다는 평가도 이를 부추기고 있다.

13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중국본토펀드의 설정액은 2조 2654억원으로 연초(2조 737억원)보다 9.24% 늘었다. 1916억원이 순유입됐는데, 지난달에만 1272억원이 들어왔다. 해외주식형펀드가 올들어 꾸준히 돈이 빠져나가 지난달에 2762억원 순유출된 것과 대조된다.

김보나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중국의 경제지표가 개선됐음에도 중국 주식시장은 저평가돼 있다.”면서 “정권교체 후 경제 개혁에 대한 기대감과 맞물려 중국본토펀드로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고 해석했다.

이날 한국은행에 따르면 중국의 1월 신규 투자 프로젝트는 4371개였으나 9월 1만 9329개로 4배 이상 늘었다. 부동산 시장도 나아져 100대 도시 주택가격이 지난 3월에는 전월보다 0.3% 떨어졌지만 11월에는 0.3% 올랐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선진국과의 교역비중은 줄고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 국가의 성장으로 수출이 늘면서 올해 1~10월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8% 증가했다. ‘연착륙’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펀드의 수익률도 나아지고 있다. 지난 7일 기준으로 중국본토펀드(운용자산 10억 이상)의 1년 수익률은 마이너스 9.18%였지만 한 주간 수익률은 평균 3.66%다. 김 연구원은 “이번 주말 중앙경제공작회의가 열리고 경제개혁의 방향성이 확립되면 불확실성이 해소될 것”이라면서 “중국펀드와 ETF 등 중국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상품에 대한 관심은 더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성원기자 lsw1469@seoul.co.kr

2012-12-14 2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