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탄 경·소형차 시세 신차대비 28.6% 하락

3년 탄 경·소형차 시세 신차대비 28.6% 하락

입력 2012-12-19 00:00
업데이트 2012-12-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중고차 시장에서 신차 대비 최고 몸값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기아차의 뉴모닝이다. 반면 중·대형차는 3년 만에 몸값이 50%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SK엔카가 2009년식 주요 국산차의 감가율을 조사한 결과 출시 3년 만에 경·소형차의 평균 가격은 28.6% 내려갔지만 중·대형차는 두 배에 가까운 44.1%가 하락했다.

2009년 12월식 뉴모닝의 중고차 시세는 신차 가격에서 14.2%밖에 떨어지지 않았다. 즉 3년을 타도 14.2%밖에 감가상각이 되지 않았다. 또 소형차인 프라이드가 20.8% 떨어지는 데 그쳤다. 아반떼HD와 포르테의 감가율도 각각 22.6%, 29.6%로 낮은 편이었다. 그러나 중·대형차의 감가율은 경·소형차보다 2배 컸다. SM5 뉴임프레션(44.3%), 그랜저 뉴럭셔리(44.7%), 오피러스 프리미엄(45.9%) 등 중·대형차 대부분이 40%대의 감가율을 보였으며 체어맨H(500S 최고급형)는 55.4%로 신차 값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중형 스포츠유틸리티 차량(SUV)인 뉴QM5(디젤 2WD), 윈스톰(7인승 2WD), 승합차 뉴카니발(9인승) 등은 감가율이 40% 안팎으로 높다. SK엔카 관계자는 “경기침체로 대형차의 수요가 줄면서 대형차의 감가율은 더욱 커지고 경·소형차는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2-12-19 2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