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 시즌 80만원짜리 모텔은 도대체 어디?

크리스마스 시즌 80만원짜리 모텔은 도대체 어디?

입력 2012-12-25 00:00
업데이트 2012-12-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크리스마스·연말 변함없는 바가지 상술

크리스마스 이브인 24일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의 유명 D레스토랑에서는 손님들에게 13만 2000원짜리 ‘스페셜 코스’만 팔았다. 대목을 맞아 모든 주문을 샐러드와 스테이크 코스로 구성된 이 세트 메뉴 하나로 통일했다. 연인과 함께 와서 연말 기분 한번 내고 사람들은 26만 4000원을 지불해야 했다. 평소에는 2만원 안팎의 피자와 파스타가 주력 상품이고, 최고급 세트 메뉴도 10만원 넘는 것이 없지만 손님들이 밀려들자 배짱 영업에 나선 것이었다.

서울 중구 예장동에 있는 M레스토랑도 평소에는 1만 5000원 안팎의 음식을 팔지만 크리스마스 당일과 이브에는 4만 8000원, 5만 9000원, 6만 8000원짜리 코스 메뉴만 예약을 받았다. 서울 중구 태평로의 한 뷔페 식당도 연말을 맞아 저녁식사 가격을 2배로 올려 받고 있다.

해마다 이맘때면 어김없이 등장해 소비자를 우롱하는 ‘바가지 상혼’이 올해에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소비자들은 1년에 한번뿐인 크리스마스·연말 기념행사와 가족·연인 이벤트를 위해 어쩔 수 없다면서도 씁쓸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대학생 정모(22)씨는 이날 여자친구와 함께 서울 종로구에 있는 한 모텔을 예약하려다 포기했다. 평소 7만 5000원이던 일반실 비용이 16만원까지 치솟았기 때문이다. 신촌과 강남 등 서울 시내 다른 모텔 밀집 지역도 평소 6만~7만원을 훌쩍 뛰어넘는 14만~18만원을 받았다. 정씨는 “크리스마스면 30만~80만원대까지 뛰는 스위트룸은 그야말로 언감생심”이라면서 “크리스마스를 조금 더 특별하게 보내고 싶은 마음은 있지만 돈 없는 대학생에게는 여러모로 사치 같다.”고 말했다. 평소 3만~4만원을 받던 지방 중소도시 모텔도 이날은 8만~10만원으로 가격을 올렸다.

유명 제과업체들도 크리스마스 대목을 맞아 같은 크기의 케이크 가격을 2000~3000원씩 올려받았다. 일부 제과업체 중에는 몇 가지 장식을 추가하고 값을 비싸게 매긴 크리스마스 케이크만 진열하거나 기존의 케이크 제품을 아예 만들지 않았다. D제과점의 경우 고구마 케이크 2호를 2만 3000원에 판매했다. 크리스마스 대목 전에는 비슷한 사이즈의 고구마 케이크를 2만원에 팔았다.

가족끼리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내기 위해 제과점을 찾았다는 주부 김모(37)씨는 “크리스마스 때는 평소 판매하던 케이크들이 싹 모습을 감춘다.”면서 “평소 2만 8000원에서 3만원 정도면 충분히 넉넉한 크기의 케이크를 살 수 있었는데 크리스마스 때는 3000~4000원은 더 줘야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배경헌 기자 baenim@seoul.co.kr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