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값 하락 가장 큰 요인
60세 이상의 소비성향이 외환위기 수준으로 떨어졌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12/26/SSI_20121226015406.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2/12/26/SSI_20121226015406.jpg)
연령별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90년 3분기 소비성향은 101.0%였다. 처분가능소득보다 더 쓴 셈이다. 그러나 점점 떨어지더니 1997년 최저였다. 그 이후 전반적 회복세였으나 카드사태 다음 해인 2004년(70.5%), 글로벌 재정위기가 발생한 2011년(70.5%)에 70%에 턱걸이하더니 올해는 70% 아래로 떨어졌다. 반면 처분가능소득은 1990년 월 평균 66만 1000원에서 올해 236만 3000원으로 3.57배 늘었지만, 소비지출은 60만 2000원에서 164만원으로 2.45배 느는 데 그쳤다. 최근 소비성향이 떨어진 것은 경기 부진 장기화로 60세 이상 가구주 자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부동산 값이 떨어진 이유 때문으로 보인다. 가계부채, 길어진 기대수명 등도 이들의 지갑을 닫는 데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세종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2-12-2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