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범죄 ‘진화’… 처벌은 ‘솜방망이’

보험범죄 ‘진화’… 처벌은 ‘솜방망이’

입력 2013-01-25 00:00
수정 2013-01-25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금감원, 형사판례집 발간… 10명중 7명이 벌금형

보험범죄는 교묘해지는데 처벌은 ‘솜방망이’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

금융감독원은 24일 2010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보험사기 혐의로 형사재판을 받은 211건을 분석한 결과, 보험범죄자 796명 중 벌금형이 574명(72.1%)으로 가장 많고 집행유예 138명(17.3%), 징역형 84명(10.6%)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보험범죄자 중 실형을 사는 경우가 10명 가운데 1명에 그친다. 사기액은 1인당 평균 1800만원에 달했다.

자동차 보험 관련 사기가 651명(81.8%)으로 1위였다. 대부분 다수가 공모한 조직적 고의사고로 1인당 가로챈 금액은 900만원이다. 나머지 145명은 생명·장기손해보험 관련 범죄자다. 1인당 6000만원꼴로 보험금을 부당하게 받았다.

이들은 고액의 보험금을 노리고 살인, 방화 등 강력 범죄를 저지르거나 장기간 상습적으로 허위입원하는 등 수법을 썼다. 금감원은 211건의 재판 가운데 시의성 있는 판례 50건을 추려낸 ‘보험범죄 형사판례집’을 발간해 이달 중 생명·보험사, 보험협회, 경찰청과 각 경찰서 등 수사기관에 배포할 예정이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3-01-2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