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74세 근로자 절반은 청소·경비원

65~74세 근로자 절반은 청소·경비원

입력 2013-05-13 00:00
업데이트 2013-05-13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금 月141만원… 전체의 67%

고령층 임금근로자의 절반이 환경미화원과 경비원 등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노인가구의 71%인 180만 가구가 현재 자산 등으로는 사망하기 전까지 생활비를 충당할 수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상당수 노인들이 질 낮은 일자리에 종사하지만 자녀 등의 도움 없이는 빈곤 상태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뜻이다.

류상윤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통계청의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세부 자료에 포함된 노인가구 2884가구에 대한 표본 조사 결과를 분석해 12일 ‘대한민국, 은퇴하기 어렵다’란 보고서를 내놨다.

노인가구는 가구주가 60~74세이면서 혼자 살거나 부부가 함께 사는 가구를 말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층 취업자는 178만명, 경제활동참가율(2011년 기준)은 29.5%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인 12.7%의 두 배를 넘는다. 그만큼 일하는 노인들이 많다는 뜻이다. 65~74세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는 43%인 60만 8000명이다. 이 중 단순노무 종사자가 72.3%인 44만명에 달했다. 이 가운데 청소원 및 환경미화원이 전체의 33%인 20만 6000명, 경비원·검표원이 23%인 14만명이었다.

일자리의 질이 떨어지다 보니 벌이 역시 변변찮은 처지다. 류 연구원은 “2011년 고용노동부 조사 결과 65~74세 임금근로자 평균 임금은 월 141만원으로 전체 평균 210만원의 67%에 그쳤다”면서 “2006년 이 비율이 71%였던 점을 고려하면 갈수록 고령층의 임금 조건은 악화되고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그 결과 다수의 노인가구는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다.

보고서가 추산한 노후 생활비를 위해 필요한 자산은 가구당 평균 2억 5000만원이다. 하지만 표본가구 중 71%는 보유자산이 2억 5000만원에 미치지 못했다. 현재 자산으로 최소한의 생계비조차 충당할 수 없는 가구도 59%나 됐다. 전체 254만 노인가구 중 180만 가구가 죽을 때까지의 생활비를 조달할 수 없고, 이 중 151만 가구는 최소한의 생계비조차 댈 수 없다는 얘기다.

세종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2013-05-13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