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경제성장 전망치 3개월새 ‘희비’ 엇갈려

한일 경제성장 전망치 3개월새 ‘희비’ 엇갈려

입력 2013-05-13 00:00
업데이트 2013-05-13 08: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국IB들 “한국 성장률 전망 2.8%로 0.1%p 낮춰”

한국과 일본 경제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일본은 엔저에 힘입어 경제가 성장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 일색인 반면 한국 경제에는 아직도 먹구름이 드리워 있다.

13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으로 모건스탠리, 골드만삭스 등 10개 대형 국외 투자은행(IB)이 제시한 한국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평균 2.8%였다.

이는 IB들이 3개월 전인 1월 말 전망한 2.9%보다 0.1%포인트 낮은 수치다.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1월 말 4.0%에서 4월 말 3.9%로 낮아졌다.

도이체방크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2.5%로 가장 비관적으로 전망했다. 모건스탠리와 바클레이즈의 전망치가 3.3%로 가장 높았다.

작년 초에는 평균 4.3%에 달했던 IB들의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은 작년 6월에는 4% 아래로 떨어졌고 올해 1월 말에는 3%대마저 붕괴했다.

1월 말 이후 BNP, 골드만삭스, JP모간, 모건스탠리, UBS 등이 줄줄이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자 수치는 더욱 떨어졌다.

반면 일본의 경제성장률에 대한 전망은 3개월 사이 호전됐다. 10개 IB는 올해 1월에는 일본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0.9%에 그칠 것으로 봤지만 4월 말에는 1.3%까지 전망치가 올라왔다.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도 1.1%에서 1.4%로 상승했다.

모건스탠리는 일본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1.6%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BNP파리바의 예상치가 0.9%로 가장 낮았다.

외국 IB들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속속 낮추는 데는 엔화 약세에 대한 우려가 작용했다.

세계 수출 시장에서 일본 기업과 경쟁하는 한국 기업이 가격 경쟁력에서 불리할 수 있다는 인식 때문이다.

골드만삭스는 지난달 중순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올해 2.9%, 내년 3.6%로 기존보다 각각 0.2%포인트, 0.3%포인트 낮추며 “엔저 추세는 한국의 수출과 투자에 악영향을 미쳐 한국 경제 회복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들은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면서 달러·엔 환율 예상치는 높였다.

스탠다드차타드도 엔화가 추가 약세를 보이면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기계, 철강 등 주요 수출 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뚜렷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씨티그룹, 모건스탠리 등은 앞으로 한국의 수출이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지만 세계 경기 회복이 느려진 탓에 그 속도가 매우 완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최근 달러·엔 환율이 달러당 100엔선까지 돌파했기 때문에 부정적인 전망이 더욱 확산할 가능성도 있다.

이정화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국외 IB들은 엔화 가치가 약세를 가속하면 한국의 주요 산업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가시화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한국 경제가 느린 속도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도 나온다.

특히 올해 1분기 GDP 성장률이 시장 전망을 웃돌았고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의 경기 부양책에 점차 활력을 찾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노무라는 최근 정부의 경기 부양 조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5%에서 2.7%로 높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