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미래 먹거리’ 중국에게 다 먹힐라

우리의 ‘미래 먹거리’ 중국에게 다 먹힐라

입력 2013-08-14 00:00
업데이트 2013-08-14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차전지 무서운 성장…세계 2위는 시간문제

2차전지와 LED(발광다이오드) 등 이른바 미래 먹거리 시장에서 중국의 성장세가 매섭다. 소형 2차전지 시장에서는 사실상 중국이 일본 기술을 따라잡은 탓에 세계 2위로 올라서는 건 시간문제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다. 또 LED 시장에선 어느덧 덩치도 기술도 키운 중국이 가격 공세로 한국 시장을 직접 공략 중이다.


13일 일본 시장조사 기관인 B3(옛 ITT)의 2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소형 2차전지(리튬이온 전지 기준) 시장에서 중국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은 22.7%까지 올라갈 전망이다. 중국의 소형 2차전지 시장점유율은 2011년 18.1%, 2012년 21.3%를 기록하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보고서는 올해 일본의 시장 점유율이 26.6%까지 내려와 중국과의 격차는 3.9% 포인트까지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2차전지 시장에서 한·중·일은 전통적인 강자다. 세계 시장의 97% 이상을 차지하며 몇 년째 사이좋게 동반 성장하는 듯하지만, 선두자리를 놓고 시장판도는 해마다 무섭게 변하고 있는 셈이다. 불과 4년 전인 2009년만 해도 당시 1위 일본과 3위 중국의 시장점유율 차이는 20% 포인트 이상이 났다. 한국은 이런 틈바구니에서 2011년부터는 일본을 제치고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2차전지는 충전을 통해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지를 말하는데, 특히 최근에는 전기자동차 시장이 태동하면서 전기차 베터리 등을 포함한 중·대형 시장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도 치열하다. 업계 관계자는 “결국 대세인 리튬이온 소형전지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어 붙이느냐가 전기자동차 베터리 산업의 핵심기술”이라면서 “중국의 소형전지 기술이 대형까지 곧바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전기자동차 베터리 시장에서도 한·중·일은 치열한 경쟁을 보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LED 분야에서도 중국은 전방위 진격 중이다. 시장조사업체 LED인사이드에 따르면 올해 중국 LED 조명시장은 324억 위안(5조 9000억원) 규모로 예상된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덕에 전년 대비 36%나 성장했다. 특히 중국의 물량 공세로 국제시장에서 LED 가격이 크게 떨어졌다. 60W 백열전구 대체품인 LED벌브의 경우 2년 전인 50달러에 육박하던 제품 가격이 23달러대로 내려왔다. 여기에 최근 중국 LED 업체들은 직접 한국 내수시장을 공략하기도 한다. 중국 시장점유율 1위인 LED 기업 킹선은 지난달 한국 진출을 선언했다. 이 자리에서 2년 후엔 한국에 생산시설을 설립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최근 LED 업계가 주목하는 건 ‘중국의 값싼 제조업 파워’가 아닌 ‘기술력’이다. 중국의 LED 기업은 이미 생산 규모와 제품기술력 모두에서 세계 주요 기업들을 바짝 쫓아 왔다. 수직형 LED, 실리콘 기판 LED, 플립 칩 등 차세대 기술력에서도 이미 중국은 세계적 수준에 다다랐다는 게 업계의 평이다. 오스람, 필립스 등 전문 LED 기업 등에서 근무했던 수많은 중국인이 두꺼운 연구인력 층을 형성하며 자국의 기술력을 차근차근 쌓아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성근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최근 중국의 역동성을 볼 때 단선적인 기술혁신만으로는 머지않아 중국에 따라잡힐 것으로 본다”면서 “한국은 미래 먹거리를 위해 보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시기”라고 밝혔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3-08-14 18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