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40%만 “세금 더 내더라도 복지 늘려야”

국민 40%만 “세금 더 내더라도 복지 늘려야”

입력 2013-08-19 00:00
업데이트 2013-08-19 08: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0%는 동의 안해..51% “우리 가정 소득은 하위층”보건사회연구원 대국민 복지의식 조사 결과

우리 사회에서 이른바 ‘증세없는 복지’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국민 10명 가운데 6명은 현재 수준보다 복지를 늘리기 위해 세금을 더 낼 생각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절반 이상은 본인 가정의 소득이 전체 사회의 중간 정도에도 못 미치는 ‘하위층’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19일 보건사회연구원의 ‘미래 보건복지 방향설정과 정책개발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 16개 광역시도 만 20세이상 남녀 1천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정부의 보건복지 혜택에 “만족한다”는 평가는 18.5%(만족 16.5+매우 만족 1.9)뿐이었다.

”만족스럽지 않다”는 대답이 28.2%(불만 24.7+매우 불만 3.5)를 차지했고, 나머지 44.9%는 “보통”이라는 반응이었다.

이처럼 전반적으로 복지 정책의 만족도가 높지 않음에도, 증세를 통한 복지 확대에는 절반 이상이 소극적 태도를 보였다.

세금을 더 내더라도 복지수준을 높이는데 동의한 응답자는 전체의 40.0%에 그쳤다. 26.0%는 오히려 “복지수준이 낮아져도 세금을 좀 더 내려야한다”고 주장했고, 25.4%는 “현재의 세금과 복지수준이 적정하다”고 진단했다. “잘 모르겠다(8.6%)”는 반응까지 더해 국민의 60%는 ‘복지수준 제고-조세 부담 증가’ 조합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얘기다.

연령별로는 30대(45.0%)와 40대(43.8%)에서 증세를 통한 복지 확대에 찬성하는 의견이 많은 반면, 60대 이상 연령층에서는 34.1%에 그쳤다. 가구 소득 기준으로는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복지를 위해 세금을 더 내겠다는 사람이 많았다.

같은 맥락에서 국민은 의료비 부담 경감을 정부 복지정책 가운데 2순위 과제로 꼽으면서도, 건강보험료 추가 부담에 대해서는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진료비를 낮추기 위해 건강보험료를 더 낼 의향이 있나”라는 질문에 46.1%가 “건강보험의 보장은 늘어나야 하지만 보험료는 더 낼 수 없다”, 30.0%는 “현재의 보장과 보험료 수준이 적당하다”고 답했다. “보장 수준을 높이기 위해 보험료를 더 내겠다”는 의견은 19.4%에 불과했다.

또 국민은 전반적으로 자신 가정의 소득이 사회 속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라고 느끼고 있었다.

과반수인 50.5%가 소득 하위층에 속한다고 답했고, 36.9%는 중위층으로 인식했다. 스스로를 소득 상위층이라고 답한 비율은 10.5% 뿐이었다. 실제 소득이 월 400만~499만원인 가정의 20.4%, 월 500만원이상 가정의 14.1%도 “우리 가정은 하위층”이라고 정의했다.

이밖에 이번 조사 대상자의 32.5%는 기초노령연금을 모든 노인에게 지급할 경우 적정액으로 월 20만원을 꼽았다. 월 30만원 이상을 줘야한다는 의견도 24.1%나 됐다.

올해부터 소득 수준에 상관없이 만 0~5세 모든 가정에 보육료를 지원하는 정책에 대해서는 찬성(56.1%)이 반대(41.5%)보다 우세했다.

보건사회연구원은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보건복지정책의 초점은 경제와 복지를 선순환 구조로 전환하고, 빈곤의 악순환을 끊고 생애주기별 욕구와 위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회안전망을 강화하는데 맞춰져야 할 것”이라며 “중장기 방향 설정과 동시에 단기적 과제를 도출해 해결하는 이원화 체계로 진행돼야한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