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30일(현지시간) 열린 미국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시장이 양적완화 축소 가능성을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와 대기업 CEO들이 한국은행 15층 대회의실에서 간담회를 갖기위해 모임을 갖고 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와 대기업 CEO들이 한국은행 15층 대회의실에서 간담회를 갖기위해 모임을 갖고 있다.
김 총재는 31일 한은 본관에서 대기업 최고경영자(CEO)들과 조찬모임을 갖고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이 유지됐지만, 주가는 오히려 떨어졌다”며 “이는 전날까지는 (양적완화 유지가 될 것이라는) 기대심리가 반영이 됐지만, 이제는 시장이 반대방향으로 갈 수 있다고 본다는 얘기”라고 말했다.
이날 FOMC는 정례회의 끝에 현 매달 850억 달러 규모의 채권을 사들이는 양적완화 정책을 유지하기로 했다. 그러나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61.59포인트(0.39%) 떨어진 15,618.76에서 거래를 마쳤다.
김 총재는 “양적완화가 유지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을 때에는 금융시장이 좋았다가, 기대와 같이 되니까 왜 주가가 떨어지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현 상황의 숙제”라며 “이는 기대심리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날 FOMC의 성명이 지난달(9월)과 미세한 차이가 있다고 했다. 가령, 전월(9월) 발표문의 “금융시장이 위축되고 있다”, “모기지 금리가 올랐다”란 언급이 삭제됐다는 것이다.
김 총재는 그러나 “이는 큰 변화가 아니다”라며 “실업률이 6.5%까지 내려오지 않고, 또 물가상승률이 2.0~2.5%를 넘기 전까지 양적완화를 계속하겠다는 기본 입장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