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는 홈시어터 뜨는 사운드바

지는 홈시어터 뜨는 사운드바

입력 2013-11-13 00:00
수정 2013-11-13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가에 기계세팅 복잡… 애물단지로 전락, 저가제품 봇물… VOD시장 확대도 한몫

1990년대 말 DVD의 등장과 함께 한때 거실 전면을 장식했던 홈시어터가 최근 사양길로 접어들고 있다. 고가인 데다 기계세팅 방법이 복잡하고 공간활용도가 떨어진다는 점 때문인데 최근 빈자리를 사운드바가 채우는 추세다.

5개 이상이던 홈시어터 스피커가 2개로 줄어 심플해진 LG전자의 최신 사운드바의 모습. LG전자 제공
5개 이상이던 홈시어터 스피커가 2개로 줄어 심플해진 LG전자의 최신 사운드바의 모습.
LG전자 제공
한때 홈시어터는 부의 상징이었다. 대형 TV, 빔프로젝터와 더불어 집안에 들어온 5.2채널의 홈시어터는 영화관과 같은 입체 사운드를 제공해 소비자의 사랑을 받았다. DVD를 넘어 블루레이로 진화한 고화질 콘텐츠 시장도 홈시어터 시장을 키우는 역할을 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홈시어터가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 대체재로 떠오르는 것이 사운드바다. 사운드바는 긴 막대처럼 생긴 스피커 하나가 입체적인 음향을 재생할 수 있도록 채널을 분할한 뒤 제품 속에 파워앰프를 탑재한 음향기기다. 보급형이 100만원대를 육박했던 홈시어터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데다 공간도 덜 차지해 매년 두 배 가까운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12일 가전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사운드바의 시장 규모는 2008년 3500만 달러에서 2009년엔 8500만 달러로 증가했다. 2010년에는 2억 4500만 달러, 2011년 4억 1300만 달러, 지난해 7억 5100만 달러 등을 기록했다. 업계 입장에선 매년 두 배 이상 시장이 커지는 블루오션이다. 초기 보스, B&W, 야마하 등 오디오 전문업체들이 200만~300만원대에 달하는 고가의 사운드바를 내놓았지만 최근 LG전자와 삼성전자가 저렴한 제품군을 속속 출시하면서 판매량이 크게 늘었다.

사운드바 시장을 키운 또 다른 요인은 넓어진 주문형비디오(VOD) 시장이다. 과거처럼 전용 플레이어를 마련해 직접 DVD나 블루레이를 재생하지 않아도 셋톱박스만으로 바로 고화질 영화를 볼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 2009년 1109억원대였던 VOD 영화시장은 3년 만인 지난해 2158억원 규모로 커졌다.

최근에는 홈시어터 사운드 수준에 버금가는 사운드바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LG전자가 지난 6월 국내 출시한 ‘LB4530’은 고출력에 사용 편의성을 높여 인기몰이 중이다. 35㎜ 높이의 얇은 디자인으로 공간 제약을 최소화했다. 저음을 담당하는 서브우퍼(Sub-Woofer)까지 무선 처리해 너저분한 선이 집안 인테리어를 해치지도 않는다. 몸집은 작지만 소리는 크다. 2.1채널의 310W의 고출력 사운드는 생생한 음질을 전달한다. 3D 서라운드 프로세서를 탑재해 주변에 묻힌 소리까지 하나하나 잡아낸다. 삼성전자도 다양한 기기들과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에어트랙’을 선보였다. 고급형은 진공관 앰프를 채용해 자연스러운 음감을 제공한다.

LG전자 관계자는 “최근 1인 가구 등 소형가전 수요가 늘면서 사운드바가 기존 홈시어터 시장을 대체하는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3-11-13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