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에 기계세팅 복잡… 애물단지로 전락, 저가제품 봇물… VOD시장 확대도 한몫
1990년대 말 DVD의 등장과 함께 한때 거실 전면을 장식했던 홈시어터가 최근 사양길로 접어들고 있다. 고가인 데다 기계세팅 방법이 복잡하고 공간활용도가 떨어진다는 점 때문인데 최근 빈자리를 사운드바가 채우는 추세다.
LG전자 제공
5개 이상이던 홈시어터 스피커가 2개로 줄어 심플해진 LG전자의 최신 사운드바의 모습.
LG전자 제공
LG전자 제공
사운드바 시장을 키운 또 다른 요인은 넓어진 주문형비디오(VOD) 시장이다. 과거처럼 전용 플레이어를 마련해 직접 DVD나 블루레이를 재생하지 않아도 셋톱박스만으로 바로 고화질 영화를 볼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 2009년 1109억원대였던 VOD 영화시장은 3년 만인 지난해 2158억원 규모로 커졌다.
최근에는 홈시어터 사운드 수준에 버금가는 사운드바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LG전자가 지난 6월 국내 출시한 ‘LB4530’은 고출력에 사용 편의성을 높여 인기몰이 중이다. 35㎜ 높이의 얇은 디자인으로 공간 제약을 최소화했다. 저음을 담당하는 서브우퍼(Sub-Woofer)까지 무선 처리해 너저분한 선이 집안 인테리어를 해치지도 않는다. 몸집은 작지만 소리는 크다. 2.1채널의 310W의 고출력 사운드는 생생한 음질을 전달한다. 3D 서라운드 프로세서를 탑재해 주변에 묻힌 소리까지 하나하나 잡아낸다. 삼성전자도 다양한 기기들과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에어트랙’을 선보였다. 고급형은 진공관 앰프를 채용해 자연스러운 음감을 제공한다.
LG전자 관계자는 “최근 1인 가구 등 소형가전 수요가 늘면서 사운드바가 기존 홈시어터 시장을 대체하는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3-11-13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