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33) 씨는 작년 10월 부쩍 쌀쌀해진 날씨에 전기장판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전기장판을 침대 매트리스 위에 깔고 사용하던 어느 날 갑자기 장판에서 불꽃이 튀면서 이불과 매트리스가 홀라당 다 타버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급하게 전원 플러그를 뽑아 큰 화재로 번지는 것은 막았지만, 자칫 잘못하면 집이 전소할 수 있었다는 생각에 이 씨는 아찔했다.
이 씨처럼 추위에 전기장판을 사용하는 소비자가 많아지면서 화상이나 화재 등 피해도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은 2011∼2012년 접수한 소비자 상담 건수는 각각 2천783건, 2천322건으로 매년 2천 건이 넘었다고 24일 밝혔다. 올해는 지난달 말까지 1천343건이 접수됐다.
피해구제 신청 건수는 2011년 66건, 2012년 68건, 올해(10월 말 현재) 48건 등 182건으로 집계됐다.
이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전기장판을 사용하다 화재가 일어나거나 화상을 입었다는 사건이 28.6%로 가장 많았다. 이어 품질(22.5%), A/S(22.0%), 계약 불만(15.4%), 전기요금(3.3%) 등이 뒤따랐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구입 전 전기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인지 확인해야 하며, 구입 후에는 온도 조절기를 발로 밟거나 충격을 주지 말고 인화성이 높은 라텍스 재질의 매트리스와 함께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전기장판을 침대 매트리스 위에 깔고 사용하던 어느 날 갑자기 장판에서 불꽃이 튀면서 이불과 매트리스가 홀라당 다 타버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급하게 전원 플러그를 뽑아 큰 화재로 번지는 것은 막았지만, 자칫 잘못하면 집이 전소할 수 있었다는 생각에 이 씨는 아찔했다.
이 씨처럼 추위에 전기장판을 사용하는 소비자가 많아지면서 화상이나 화재 등 피해도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은 2011∼2012년 접수한 소비자 상담 건수는 각각 2천783건, 2천322건으로 매년 2천 건이 넘었다고 24일 밝혔다. 올해는 지난달 말까지 1천343건이 접수됐다.
피해구제 신청 건수는 2011년 66건, 2012년 68건, 올해(10월 말 현재) 48건 등 182건으로 집계됐다.
이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전기장판을 사용하다 화재가 일어나거나 화상을 입었다는 사건이 28.6%로 가장 많았다. 이어 품질(22.5%), A/S(22.0%), 계약 불만(15.4%), 전기요금(3.3%) 등이 뒤따랐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구입 전 전기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인지 확인해야 하며, 구입 후에는 온도 조절기를 발로 밟거나 충격을 주지 말고 인화성이 높은 라텍스 재질의 매트리스와 함께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