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수출물가 6년來 최저…원화 강세 영향

지난해 수출물가 6년來 최저…원화 강세 영향

입력 2014-01-14 00:00
업데이트 2014-01-14 07: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년比 수출물가 4.3%↓, 수입물가 7.3%↓

원화 강세(원·달러 환율 하락)의 영향으로 2013년 수출물가가 2007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이 14일 내놓은 ‘2013년 12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보면, 지난해 수출물가 지수(2010년=100)는 1년 전보다 4.3% 하락한 93.69다.

달러화 등 계약 통화(수출입 때 결제수단으로 사용하는 통화) 기준으로는 1.1% 떨어졌다.

이는 수출업체가 같은 상품을 팔더라도 손에 쥐는 돈이 한국 원화로 환산하면 평균 4.3% 줄어든다는 의미다. 그만큼 채산성이 나빠진다.

수출물가 지수는 2007년 84.41을 저점으로 2008년~2011년 100을 웃돌았으나 2012년(97.87) 90선으로 내려온 뒤 지난해 최저점을 찍었다.

월별로 보면 지난해 12월 수출물가는 90.3으로 한 달 전보다 0.3% 하락했다. 2008년 2월(89.07)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이현영 한은 물가통계팀 과장은 “지난해 수출물가지수 하락에는 환율의 영향이 가장 컸다”며 “철광과 스마트폰 등 주력수출품의 실적 악화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월별 수출물가가 내린 주요 품목은 휴대용전화기(-2.1%), 위성방송수신기(-0.5%) 등 통신·영상·음향기기와 순합성섬유직물(-0.4%), 가공우피(-0.9%) 등 섬유·가죽제품, 알루미늄판(-2.1%), 금괴(-4.4%)를 비롯한 제1차 금속제품 등이다.

가격이 오른 품목으로 폴리프로필렌수지(5.6%) 등 화학제품과 휘발유(3.0%) 등 석탄석유제품이 있다.

지난해 수입물가지수는 102.66으로 전년보다 7.3% 하락했다. 이는 2009년(94.96)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12월 기준으로는 99.53으로 전달에 견줘 0.4% 올랐다. 9월(-2.3%), 10월(-2.4%), 11월(-0.5%) 연달아 마이너스를 기록하다 넉 달 만에 반등한 것이다.

지난달 상승세는 두바이유 가격이 오르는 등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계약통화 기준으로는 전월보다 1.1% 올랐다.

수입 물가가 오르면 시차를 두고 국내 물가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

주요 상승 품목은 프로판가스(25.0%), 경유(2.1%), 원유(1.3%), 부탄가스(33.1%), 치즈(4.4%), 콩(0.9%) 등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