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 고부가가치화 돼야… 일자리 늘어나고 내수도 살아”

“서비스업 고부가가치화 돼야… 일자리 늘어나고 내수도 살아”

입력 2014-03-13 00:00
업데이트 2014-03-13 04: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병원 회장, 삼성사장단 회의서 강연

박병원 전국은행연합회장
박병원 전국은행연합회장
“서비스업만큼 고용창출 효과가 큰 업종이 없는데 서비스업에서 이익을 많이 내면 곧바로 가격인하요구가 드세지고 규제가 들어옵니다.”

박병원 전국은행연합회장이 12일 삼성 수요사장단 회의에서 서비스업 활성화 정책의 딜레마에 대해 말했다.

박 회장은 “경제정책이 물가안정을 중심으로 운용되고 있는데 내수를 살리려면 서비스업을 육성해 투자와 일자리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한국은행이 내놓은 ‘산업연관표’ 자료를 보면 서비스업의 고용창출 효과는 제조업보다 훨씬 높다. 10억원 생산을 위해 투입된 취업자 수는 서비스업은 12.0명이지만 제조업은 2.4명에 불과하다.

그는 서비스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옮겨가야 하는데 규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회장은 “서비스업이 물가와 직결되다 보니 이익을 내면 바로 규제가 들어온다”면서 “서비스의 고급화로 부가가치를 높여야 하는데 사회적 위화감 우려에 막혀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일자리에 초점을 맞춘 인식의 전환도 강조했다. 그는 “일자리에 대한 영향평가도 필요하다”면서 “어떤 정책을 도입했을 때 일자리가 줄지, 늘지를 평가하자”고 제안했다. 또한 “재계 순위를 매길 때 자산총액뿐 아니라 고용규모, 임직원 임금총액을 기준으로 하자”고 주장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4-03-13 1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