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가 단순한 지원을 넘어 ‘중소기업 키우기’로 동반상생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회사는 특히 지난해부터 시스템통합(SI), 광고, 건설 등 3개 분야에서 연간 4000억원 규모의 계열사 간 거래를 중소기업에 직접 발주하거나 경쟁입찰로 전환하기로 했다.
LG와 IBK기업은행 관계자들이 지난해 4월 중순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2·3차 협력회사 동반성장 협약식’을 갖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LG그룹 제공
LG 관계자는 29일 “그동안 이들 3개 분야 계열사 간 거래 물량에 대해 중소기업이 경쟁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 실천해 왔다”면서 “이번에 그 대상 규모를 확대하여 구체적으로 실행키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SI 분야는 LG계열사들이 발주할 사업 가운데 2300억원 규모의 거래를 중소기업 등에 개방한다. 이중 50%는 중소기업에 직접 발주하고 50%는 경쟁입찰을 실시한다.
광고 분야에서는 LG 계열사가 발주할 광고금액 가운데 1000억원을, 건설 분야에서는 LG 계열사들이 발주할 건설용역 가운데 보안이 필요한 생산시설과 연구소 등을 제외한 700억원 규모를 개방한다.
LG는 지난해 1차 협력회사 중심의 2500억원 규모 동반성장펀드를 3400억원 규모로 확대한 데 이어,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화학, LG생활건강 등 4개 계열사를 중심으로 2·3차 협력회사 자금지원을 위한 2000억원 규모의 동반성장펀드를 추가 조성했다.
한편 LG는 IBK기업은행과 2·3차 협력회사의 무료 에너지 컨설팅도 시작한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LG그룹 제공
LG와 IBK기업은행 관계자들이 지난해 4월 중순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2·3차 협력회사 동반성장 협약식’을 갖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LG그룹 제공
LG그룹 제공
SI 분야는 LG계열사들이 발주할 사업 가운데 2300억원 규모의 거래를 중소기업 등에 개방한다. 이중 50%는 중소기업에 직접 발주하고 50%는 경쟁입찰을 실시한다.
광고 분야에서는 LG 계열사가 발주할 광고금액 가운데 1000억원을, 건설 분야에서는 LG 계열사들이 발주할 건설용역 가운데 보안이 필요한 생산시설과 연구소 등을 제외한 700억원 규모를 개방한다.
LG는 지난해 1차 협력회사 중심의 2500억원 규모 동반성장펀드를 3400억원 규모로 확대한 데 이어,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화학, LG생활건강 등 4개 계열사를 중심으로 2·3차 협력회사 자금지원을 위한 2000억원 규모의 동반성장펀드를 추가 조성했다.
한편 LG는 IBK기업은행과 2·3차 협력회사의 무료 에너지 컨설팅도 시작한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4-04-30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