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픔 딛고 민생경제 살려야…취약업종 지원 강화하겠다”불성실 공시하는 공공기관 CEO 경고키로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2일 음식·숙박업 등 세월호 참사 이후 어려워진 취약업종에 대한 지원을 계속해서 강화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8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현 부총리는 “도·소매, 음식, 숙박, 운수업 등 서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의 체감경기가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라며 취약업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딛고 환골탈태의 자세로 전 국민이 힘을 모아야 한다”며 “안전 대한민국의 기틀을 굳건히 하는 한편 민생경제를 살리고 성장잠재력을 확충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최근 내수경기 상황이 어려운 가운데 산업경쟁력 측면에서도 낙관할 수 없다”며 “해외시장 개척과 외국인 투자 활성화를 위해 다음 달 중에 전자상거래 활성화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연구·개발(R&D) 센터, 글로벌 헤드쿼터 등의 고부가가치 외국인 투자와 유턴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그는 공공기관 방만 경영 정상화 대책에 대해서는 “실망스럽게도 공공기관 대부분이 공시의 정확성·신뢰성 측면에서 기대수준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며 “(공시를 불성실하게 한 공공기관의) 최고경영자에게 엄중 경고하고 담당자는 인사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시시스템인 ‘알리오(Alio)’의 운영 상황을 점검한 결과 전체 295개 공공기관 중 291개 공공기관이 공시 불이행, 허위공시 등 불성실 공시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4개 기관도 주의대상으로 확인됐다.
현 부총리는 정부가 공공기관 정상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노사간 쟁점으로 떠오른 경영평가 성과급의 퇴직금 산정에 대해서는 불가하다는 뜻을 확실히 밝혔다.
그는 “2010년부터 공공기관에서 퇴직금을 산정할 때 경영평가 성과급을 제외하도록 하고 있으나 일부 기관이 이행하지 않고 있다”며 “모든 공공기관이 이를 신속히 반영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현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중소·중견기업의 영업비밀 보호와 관련한 맞춤형 대책을 내놓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그는 “관련 법령을 개정해 피해기업의 영업비밀 침해에 대한 입증 부담을 완화하고 영업비밀이 유출됐을 때 손해배상 책임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영업비밀이 유출된 회사에는 법률 컨설팅을 지원하고, 영업비밀 관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전문교육 과정을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