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상장사 4곳 중 1곳 적자…내수·환율 탓

1분기 상장사 4곳 중 1곳 적자…내수·환율 탓

입력 2014-06-02 00:00
수정 2014-06-02 13: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매출액 제자리걸음하고 영업이익은 1.48% 감소 삼성전자·현대차 합한 순익이 전체의 50% 넘어

내수 부진과 원화 강세의 영향으로 1분기 상장사 4곳 중 1곳이 적자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은 제자리걸음에 그쳤고 영업이익은 오히려 줄었다.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의 순이익은 전체의 절반이 넘어 쏠림 현상이 여전했다.

2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사협의회에 따르면 연결재무제표를 제출한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 569곳 중 분석 가능한 502곳의 1분기 매출액은 458조4천409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19% 늘었다.

순이익도 19조1천628억원으로 4.57%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5조7천976억원으로 1.48% 줄었다.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5.63%로 지난해 동기보다 0.15%포인트 낮아졌고 매출액 순이익률은 4.18%로 0.14% 올랐다.

1분기 말 현재 부채비율은 135.26%로 지난해 1분기 말보다 2.45%포인트 늘었다.

순익 흑자기업은 전체의 73.11%인 367곳이고 135곳(26.89%)은 적자였다.

흑자기업 중 315곳은 흑자가 전분기부터 이어진 곳이고 52곳은 1분기에 흑자로 돌아선 곳이다. 적자기업 중 89곳은 적자가 지속됐고 46곳은 적자로 돌아섰다.

삼성전자는 매출액이 53조6천753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53% 늘고 영업이익은 8조4천888억원으로 3.31% 줄었으며 순이익은 7조5천744억원으로 5.86% 늘었다.

현대자동차 영업이익은 1조9천384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3.74% 늘었고 순이익은 2조281억원으로 2.86% 줄었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전체의 32.9%, 39.5%를 차지했다.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두곳의 영업이익을 합하면 10조4천272억원으로 전체의 40.4%에 달하고 순이익은 9조6천25억원으로 50.1%였다.

개별·별도재무제표를 제출한 12월 결산법인 상장사 697곳 중 분석 가능한 626곳의 매출액은 285조6천105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04% 늘었다.

영업이익과 순익은 17조5천566억원과 15조8천654억원으로 10.96%, 4.1% 각각 증가했다.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6.15%, 매출액 순이익률은 5.55%로 지난해 1분기보다 0.55%포인트, 0.16%포인트 각각 올랐다. 1분기 말 현재 부채비율은 84.2%로 지난해 1분기 말보다 1.98% 올랐다.

업종별 매출을 보면 전기전자, 의료정밀, 건설 등 10개 업종은 늘었고 통신, 화학, 운수창고 등 7개 업종은 줄었다.

순이익은 비금속, 건설, 기계 등 8개 업종이 증가했고 통신, 철강금속, 의료정밀 등 8개 업종이 줄었으며 운수창고 업종은 적자로 전환했다.

유통은 1분기 순이익이 지난해 동기보다 50.79%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고 전기전자는 29.85%, 섬유의복은 28.71%, 음식료품 21.47% 각각 늘었다. 반면에 통신은 순익이 66.01% 줄어든 것을 비롯해 철강금속은 56.33%, 의료정밀 42.92%, 종이목재 41.26%, 화학 18.87% 각각 감소했다.

순이익 흑자 기업은 75.4%인 472개이고 24.6%인 154개는 적자를 보였다.

코스닥기업들은 매출과 영업이익은 늘었지만 순이익은 줄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와 다소 다른 모습을 보였다.

연결재무제표를 제출한 12월 결산법인 중 분석이 가능한 666곳의 매출액은 29조4천10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3% 늘었고 영업이익은 1조3천883억원으로 8.73% 증가했다. 그러나 순이익은 9천878억원으로 12.95% 줄었다.

흑자기업은 67.72%인 451곳에 달하고 적자기업은 32.28%인 215곳이었다.

개별(별도)재무제표를 제출한 12월 결산법인 중 분석이 가능한 913곳의 매출액은 25조8천651억원으로 2.36% 늘었고 영업이익은 1조2천710억원으로 8.06%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1조1천574억원으로 6.76% 줄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6구역 재건축 조합 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9일 서대문구청 대강당에서 열린 북가좌6구역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북가좌6구역은 규모가 크고 초등학교가 인접해 있으며, 디지털미디어시티(DMC)역과 불광천변에 접하고 있어 입지 조건이 뛰어나 향후 서대문구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곳으로 평가되며, 대림산업이 시공사로 선정되어 있다. 김 의원은 축사를 통해 주택 재정비 사업을 조합 설립 전후로 나누어 볼 필요성을 강조하며 “조합이 설립되고 시공사까지 선정된 상황에서 조합장 등 조합 임원을 선출하기 위한 총회에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는 것이 안타깝다”라는 심정을 피력했다. 또한 조합원들에게도 자신의 소중한 자산을 지키기 위해 재개발·재건축 아카데미 등에 적극 참여하여 정비사업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고, 조합 감시·감독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의원은 현재 6구역이 서울시 재건축 통합심의를 앞둔 만큼, 신속하게 지도부(조합 임원진)를 결성한 후 핵심 역량을 발휘해 사업이 빠르게 진행되기를 기원했다. 그는 과거 도시계획 심의위원으로 활동했던 경험을 언급하며, 지역 시의원으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6구역 재건축 조합 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